본문바로가기
발음
[만들다발음 듣기]
활용
만들어[만드러발음 듣기], 만드니[만드니], 만드오[만드오]
품사/문형
「동사」 【…을】
「001」노력이나 기술 따위를 들여 목적하는 사물을 이루다.
음식을 만들다.
오랜 공사를 벌인 끝에 마침내 터널을 만들었다.
임진왜란 때에, 이순신이 거북선을 만들었다.
날이 밝자 대정 민당은 두 군데 왕대밭을 쓰러뜨려 죽창을 만드는 한편 서둘러 통문을 작성하여 삼읍에 급주로 띄웠다.≪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그 여자는 마당에서 절구질을 하고 있었다. 텃밭에서 캔 햇감자였는데 남편이 좋아하는 감자떡을 만들 참이었다.≪김성동, 잔월≫

역사 정보

다(15세기~19세기)>들다(18세기~19세기)>만들다(18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만들다’의 옛말인 ‘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났을 것으로 추정된다. 동사로 쓰인 ‘다’의 예는 16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나지만, ‘-’과 접미사 ‘-이’가 결합한 ‘리’(그 각시 뎌른 {리} 고 ≪1460년경 삼강-런던 열:9≫)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나기 때문이다. ‘다’는 ‘ㄴ, ㅅ, ㄷ’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 ‘-’로, 그외의 어미 앞에서는 ‘-’로 나타난다. 16세기 후반에 2음절 이하의 ‘ㆍ’가 ‘ㅡ’로 변하였는데, 이에 따라 18세기에는 ‘들다’로 나타난다. 18세기에 제1음절의 ‘ㆍ’가 ‘ㅏ’로 변화하였는데, 이에 따라 18세기에 ‘만들다’가 나타나서 현재에 이르렀다. 16세기 후반에 제2음절 이하의 ‘ㆍ’가 ‘ㅡ’로 변화하는 경향 외에도 ‘ㆍ’는 ‘ㅗ’로 변화하기도 하였는데, 이에 따라 16세기에 ‘돌다’로 나타나기도 한다. 19세기의 ‘만다’는 18세기에 제1음절에서 일어났던 ‘ㆍ>ㅏ’의 변화에 따라 ‘다’에서 변화한 것이며, ‘ㄴ, ㅅ, ㄷ’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 는 ‘만-’로 나타났다. 19세기의 ‘만달다’는 ‘다’의 ‘ㆍ’가 모두 ‘ㅏ’로 변화한 형태이다.
15세기에 “만들다”의 의미로 쓰였던 단어로는 ‘다’가 있는데(로 {며} ≪1482 금삼 4:58ㄴ≫), 이 단어는 다양한 음운 변화를 거쳐 19세기까지도 나타난다. 또한 ‘다’와 ‘다’의 혼효로 보이는 ‘다’(위야 무덤을 {라} 주니라 ≪1518 번소 9:33ㄴ≫)와 ‘다’(보육 {라} ≪1588 소언 6:72ㄱ≫)도 16세기 이후에 나타난다.
이형태/이표기 -, -, 들-, 드-, 돌-, 만들-, 만드-, 만-, 만-, 만달-
세기별 용례
16세기 : (-, -)
져믄 아호로 아뎟 飮食을 라 먹게 야 ≪1518 번소 9:7ㄱ
林宗이 저를 위여 니라 너겻더니 ≪1518 번소 10:6ㄴ
17세기 : (-, 돌-)
中門 밧긔 朴陋 방을 여 丈夫의 喪次 고1632 가언 5:35ㄴ
 도라 더온 믈의 타 머기며 더 됴니라 ≪17세기 두경 62ㄴ
18세기 : (들-, 드-, 만들-, 만드-)
밧비 차반 들고 고기 마 닉거든 건져내고 ≪1795 노언-중 하:44ㄴ
或 이 담뷔에 믈드려 든 갓시오 ≪1795 노언-중 하:49ㄱ
음밀 말은 쥰이 젼으로 더브러  양 만드럿고1756 천의 4:60ㄴ-61ㄱ
고 거두어  만드단 말 ≪1796 경신 56ㄴ
19세기 : (들-, -, -, 만들-, 만드-, 만-, 만-, 만달-)
구슈 들다 成獄 ≪1880 한불 212
예수의 말과 실을 긔록야 을 시매1865 주년 84ㄱ
반시 고 셰우신 쥬ㅣ 계신 줄을 알지니 ≪1892 성직 1:40ㄴ
관가로 문셔 만드러1852 태상 2:56ㄴ
이 져울 오목으로 합부여 만든 거시라 ≪1852 태상 3:46ㄴ
어만두소쳐로 만라  속에 너코 ≪1869 규합 10ㄱ
하님셔 만신 거시니 ≪1894 천로 상:193ㄴ
기로 아리을 만달아 고이고 ≪1869 규합 3ㄴ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