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만들다

- 활용
- 만들어[만드러

- 품사/문형
- 「동사」 【…을】
- 「001」노력이나 기술 따위를 들여 목적하는 사물을 이루다.
- 음식을 만들다.
- 오랜 공사를 벌인 끝에 마침내 터널을 만들었다.
- 임진왜란 때에, 이순신이 거북선을 만들었다.
- 날이 밝자 대정 민당은 두 군데 왕대밭을 쓰러뜨려 죽창을 만드는 한편 서둘러 통문을 작성하여 삼읍에 급주로 띄웠다.≪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 그 여자는 마당에서 절구질을 하고 있었다. 텃밭에서 캔 햇감자였는데 남편이 좋아하는 감자떡을 만들 참이었다.≪김성동, 잔월≫
관련 어휘
역사 정보
다(15세기~19세기)>들다(18세기~19세기)>만들다(18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만들다’의 옛말인 ‘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났을 것으로 추정된다. 동사로 쓰인 ‘다’의 예는 16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나지만, ‘-’과 접미사 ‘-이’가 결합한 ‘리’(그 각시 뎌른 {리} 고 ≪1460년경 삼강-런던 열:9≫)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나기 때문이다. ‘다’는 ‘ㄴ, ㅅ, ㄷ’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 ‘-’로, 그외의 어미 앞에서는 ‘-’로 나타난다. 16세기 후반에 2음절 이하의 ‘ㆍ’가 ‘ㅡ’로 변하였는데, 이에 따라 18세기에는 ‘들다’로 나타난다. 18세기에 제1음절의 ‘ㆍ’가 ‘ㅏ’로 변화하였는데, 이에 따라 18세기에 ‘만들다’가 나타나서 현재에 이르렀다. 16세기 후반에 제2음절 이하의 ‘ㆍ’가 ‘ㅡ’로 변화하는 경향 외에도 ‘ㆍ’는 ‘ㅗ’로 변화하기도 하였는데, 이에 따라 16세기에 ‘돌다’로 나타나기도 한다. 19세기의 ‘만다’는 18세기에 제1음절에서 일어났던 ‘ㆍ>ㅏ’의 변화에 따라 ‘다’에서 변화한 것이며, ‘ㄴ, ㅅ, ㄷ’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 는 ‘만-’로 나타났다. 19세기의 ‘만달다’는 ‘다’의 ‘ㆍ’가 모두 ‘ㅏ’로 변화한 형태이다. 15세기에 “만들다”의 의미로 쓰였던 단어로는 ‘다’가 있는데(로 {며} ≪1482 금삼 4:58ㄴ≫), 이 단어는 다양한 음운 변화를 거쳐 19세기까지도 나타난다. 또한 ‘다’와 ‘다’의 혼효로 보이는 ‘다’(위야 무덤을 {라} 주니라 ≪1518 번소 9:33ㄴ≫)와 ‘다’(보육 {라} ≪1588 소언 6:72ㄱ≫)도 16세기 이후에 나타난다. |
---|---|
이형태/이표기 | -, -, 들-, 드-, 돌-, 만들-, 만드-, 만-, 만-, 만달-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