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비ː다

- 활용
- 비어[비어




- 품사
- 「동사」
- 「001」일정한 공간에 사람, 사물 따위가 들어 있지 아니하게 되다.
- 빈 그릇.
- 빈 택시.
- 조금 있으면 자리 하나가 빈다.
- 점심시간이라 사무실이 텅 비었다.
- 경비실이 비어서 열쇠를 맡기지 못했다.
- 아무것도 안 먹어 지금 속이 텅 비어 있는 상태이다.
- 술자리가 무르익어 가면서 술병들도 하나씩 비어 갔다.
- 오래된 나무는 자연히 속이 비게 마련이고, 그 속에는 항상 탄산 가스라는 물질이 가득 차 있단 말씀예요.≪김춘복, 쌈짓골≫
- 천막이 걷히며 썰렁하게 비어 가던 장터에는 그림자만 길게 남았었다.≪한수산, 유민≫
역사 정보
뷔다/븨다(15세기~19세기)>비다(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비다’의 옛말인 ‘뷔다/븨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근대 국어 후기에는 단모음화가 일어나서 19세기 문헌에는 ‘비다’가 보일 것이 예상되지만 ‘비다’의 경우에는 19세기가지 ‘뷔다’와 ‘븨다’의 용례가 확인된다. |
---|---|
이형태/이표기 | 븨다, 뷔다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5)
- 속담빈 깡통이 소리는 더 난다[요란하다]
- ‘빈 수레가[달구지가] 요란하다’의 북한 속담.
- 속담빈 수레가[달구지가] 요란하다
- 실속 없는 사람이 겉으로 더 떠들어 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속이 빈 깡통이 소리만 요란하다’
- 속담빈 외양간에 소 들어간다
- 빈 외양간에 소를 들여다 매면 어떤 빈자리가 적절하게 채워지게 된다는 뜻으로, 일의 형편이나 외모가 좋아져 꼭 짜이게 잘 어울리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빈 절에 구렁이 모이듯[끓이듯]
- 먹을 것도 없는 빈 절에 쓸데없이 구렁이가 모여들어 와글거린다는 뜻으로, 언짢은 것들이 여기저기서 소리없이 모여 우글거리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빈 총구에서 탄알이 나간다
- 무기를 함부로 다루면 뜻하지 않은 사고가 난다는 뜻으로, 언제나 규정대로 잘 다루어야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