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만나다발음 듣기]
활용
만나[만나발음 듣기], 만나니[만나니발음 듣기]
품사/문형
「동사」 【(…과)】
「001」((‘…과’가 나타나지 않을 때는 여럿임을 뜻하는 말이 주어로 온다)) 선이나 길, 강 따위가 서로 마주 닿다.
난류가 한류와 만나는 곳.
수평선과 하늘이 만나는 지점.
이 길로 가면 고속 도로와 만난다.
택시 두 대가 겨우 비비적거리며 지나칠 수 있는 좁은 길이 큰길과 만나는 지점에 세워진 버스 정류장의 팻말 아래에는 차를 기다리는 사람들이 서넛 눈에 띈다.≪오정희, 미명≫
집에 가려서 보이지 않던 오솔길이 안채로 통하는 자갈을 깐 길과 만나는 지점으로부터는 광에서도 잘 내다보였다.≪박완서, 미망≫
여러 물줄기들이 만나 큰 강을 이룬다.
독서광이었던 영광은 책 속에서 어느 사막이며 호수며 바닷가 고원 지대 벌판 또는 어떤 도시를 만나게 되면 그곳으로 가고 싶은 충동을 느꼈다.≪박경리, 토지≫

역사 정보

맞나다(15세기)/맛나다(15세기~19세기)>만나다(16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만나다’의 옛말인 ‘맛나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맛나다’는 동사 ‘맞-’과 ‘나-’가 결합한 합성어로 8종성법에 따라 ‘맛나다’로 표기되었다. 다만 15세기 문헌 중 ≪월인천강지곡≫에서만 ‘맞나다’로 표기된 예가 보인다. 16세기 무렵 종성의 ‘ㅅ’이 ‘ㄷ’과 소리가 같아짐에 따라 ‘맛나-’의 실제 발음은 [맏나]가 되었는데, 여기에서 ‘ㄴ’의 영향으로 ‘ㄷ’이 비음 ‘ㄴ’이 되는 비음화가 일어나 ‘만나-’로 변화하였다. 19세기까지 ‘맛나다’와 ‘만나다’가 공존하다가 ‘만나-’로 통일되면서 현재에 이른 것이다.
이형태/이표기 맞나다, 맛나다, 만나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맞나다, 맛나다)
世尊 맞나며 즘게 남기 들여늘 구쳐 뵈고 조 오니 ≪1447 월천 65ㄴ≫
부텨를 맛나미 甚히 어려니 우리 出家 드르쇼셔 ≪1447 석상 21:39ㄱ
서르 맛나 슬후믈 너무 가 저허 소리 내요 微微히 호 짐즛 짓다 ≪1481 두시-초 16:51ㄴ
16세기 : (맛나다, 만나다)
先生 길헤 맛나 리 나가 다이 셔셔  고자 先生이 더브러 말거시든 對答고 ≪1518 번소 3:26ㄱ
先生 길헤 만나 리 거러 나아가 바 셔 뎡 고자 先生이 더블어 말거시든 답고 ≪1588 소언 2:58ㄴ
만날 봉 ≪1576 신유 하:43ㄴ≫
17세기 : (맛나다, 만나다)
뫼도 서르 맛나 날이 잇니 ≪1670 노언 하:66ㄱ
풍한을 만나 샤긔 서르 모다 역과 리 되니라 ≪1608 언두 상:2ㄱ
서르 만나 슬후믈 너무 가 저허 소리 내요 微微히 호 짐즛 짓다 ≪1632 두시-중 16:52ㄴ
18세기 : (맛나다, 만나다)
고기 잡  맛나 므르니 거복 오십을 잡아노라 거 ≪1758 종덕 상:6ㄴ
遭遇 긔회 만나다 逢時  만나다1748 동해 하:52ㄴ
19세기 : (맛나다, 만나다)
로 모든 종도ㅣ 바다흘 건너다가 바람을 맛나  거의 업칠 디경이러니 ≪1865 주년 64ㄴ
일일은  의 신인을 만나1852 태상 2:54ㄱ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