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만나다

- 활용
- 만나[만나


- 품사/문형
- 「동사」 【(…과)】
- 「001」((‘…과’가 나타나지 않을 때는 여럿임을 뜻하는 말이 주어로 온다)) 선이나 길, 강 따위가 서로 마주 닿다.
- 난류가 한류와 만나는 곳.
- 수평선과 하늘이 만나는 지점.
- 이 길로 가면 고속 도로와 만난다.
- 택시 두 대가 겨우 비비적거리며 지나칠 수 있는 좁은 길이 큰길과 만나는 지점에 세워진 버스 정류장의 팻말 아래에는 차를 기다리는 사람들이 서넛 눈에 띈다.≪오정희, 미명≫
- 집에 가려서 보이지 않던 오솔길이 안채로 통하는 자갈을 깐 길과 만나는 지점으로부터는 광에서도 잘 내다보였다.≪박완서, 미망≫
- 여러 물줄기들이 만나 큰 강을 이룬다.
- 독서광이었던 영광은 책 속에서 어느 사막이며 호수며 바닷가 고원 지대 벌판 또는 어떤 도시를 만나게 되면 그곳으로 가고 싶은 충동을 느꼈다.≪박경리, 토지≫
관련 어휘
역사 정보
맞나다(15세기)/맛나다(15세기~19세기)>만나다(16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만나다’의 옛말인 ‘맛나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맛나다’는 동사 ‘맞-’과 ‘나-’가 결합한 합성어로 8종성법에 따라 ‘맛나다’로 표기되었다. 다만 15세기 문헌 중 ≪월인천강지곡≫에서만 ‘맞나다’로 표기된 예가 보인다. 16세기 무렵 종성의 ‘ㅅ’이 ‘ㄷ’과 소리가 같아짐에 따라 ‘맛나-’의 실제 발음은 [맏나]가 되었는데, 여기에서 ‘ㄴ’의 영향으로 ‘ㄷ’이 비음 ‘ㄴ’이 되는 비음화가 일어나 ‘만나-’로 변화하였다. 19세기까지 ‘맛나다’와 ‘만나다’가 공존하다가 ‘만나-’로 통일되면서 현재에 이른 것이다. |
---|---|
이형태/이표기 | 맞나다, 맛나다, 만나다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