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꼳따발음 듣기]
활용
꽂아[꼬자발음 듣기], 꽂으니[꼬즈니발음 듣기], 꽂는[꼰는발음 듣기]
품사/문형
「동사」 【…을 …에】
「001」쓰러지거나 빠지지 아니하게 박아 세우거나 끼우다.
꽃을 병에 꽂다.
산 정상에 국기를 꽂다.
머리에 비녀를 꽂다.
플러그를 꽂다.
환자의 겨드랑 밑을 찾아서 체온기를 꽂아 둔다.≪현진건, 적도≫
치모는 향이 다 사그라져 버린 향로에다 새 향을 갈아 꽂고 있었다.≪김원일, 노을≫
말을 마치고 노국 공주는 까맣게 재가 된 잣을 뽑아 버린 뒤에 다시 잣 한 송이를 깨어 바늘 끝에 꽂아 촛불에 달인다.≪박종화, 다정불심≫
상을 입은 표시로 삼베 조각도 머리에 꽂고 있었다.≪이호철, 소시민≫

역사 정보

곶다(15세기~18세기)>다(17세기~19세기)>꽂다(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꽂다’의 옛말인 ‘곶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7세기에 어두 자음 ‘ㄱ’은 된소리로 변하여 ‘다’로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이후 ‘곶다’와 ‘다’가 18세기까지 공존하다가 19세기에 ‘다’로 통일되었다. ‘ㅺ’으로 표기했던 ‘ㄱ’의 된소리를 ‘ㄲ’으로 표기하여 ‘꽂다’로 나타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이형태/이표기 곶다, 곳다, 다, 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곶다, 곳다)
都護ㅅ 놀애 브르노니 술 고 갈 고자시니 肝膽이 나댓도소니 ≪1481 두시-초 5:39ㄴ
甁의 곳고 道場 네 門 各各 큰 香爐 노코 ≪1459 월석 10:119ㄴ
16세기 : (곶다, 곳다)
일 아 머리 비서 오 빈혀 고자 섬 아래 가 절고 ≪1518 번소 9:29ㄴ
 다 어든 빈혀 곳고 스믈히어든 남진 브틀디니 ≪1588 소언 1:7ㄴ
17세기 : (곶다, 곳다, 다)
都護ㅅ 놀애를 브르노니 술 고 갈흘 고자시니 肝膽이 나댓도소니 ≪1632 두시-중 5:39ㄴ
靈座의 拜야 香 곳고 再拜고 드듸여 主人를 吊상호 ≪1632 가례 5:24ㄴ≫
簪子 梁冠의  빈혀 ≪1690 역해 상:43ㄱ
18세기 : (곳다, 다, 다)
或 빗굴고 或 르디고 或 곳니 곳니 大小 分寸을 자혀 보고 대되 몃 곳인줄을혜라 ≪1792 무원 3:16ㄴ≫
듕곤의 년셰 겨유 빈혀 기의 디나 겨오시니 일후 죵지경을 거국신민의 라 배라 ≪1756 천의소감언해 1:9ㄱ≫
杏花  가지 것거 膽甁에 자 두라 ≪1721 오륜전비 1:32ㄱ
19세기 : (다, 다, 꼿다)
 엇지 반시 향을 고 례고 모사로  강림시기를 구랴 ≪1876 남궁 2ㄱ
그 외에 낫낫치 례로 긔 자 병을 쥬리라 더니 ≪1852 태상 5:36ㄱ
꼿다 揷也 ≪1895 국한 33

다중 매체 정보(1)

  • 꽂다
    꽂다

    꽂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