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붇따

- 활용
- 붙어[부터



- 품사/문형
- 「동사」 【…에】
- 「001」맞닿아 떨어지지 아니하다.
- 전신주에 광고 쪽지가 붙어 있었다.
- 모든 공산품에는 상표가 붙어 있다.
- 화장실에서 나오던 그의 발걸음이 얼어붙듯 땅에 붙고 만다.
- 명희는 엉덩이가 의자에 붙어 버린 것처럼 일어설 수가 없었다.≪박경리, 토지≫
- 남편을 보고 마루로 오르려는 두전댁 한쪽 발에 신이 붙어 벗겨지지 않았다.≪송기숙, 녹두 장군≫
역사 정보
븥다(15세기~18세기)>붙다(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붙다’의 옛말인 ‘븥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이 단어는 ‘ㅂ’ 뒤에서 모음 ‘ㅡ’가 ‘ㅜ’로 바뀌는 원순 모음화 되는 현상에 따라 ‘븥’이 ‘붙’으로 바뀌었다. ‘븥다’는 받침 규칙에 따라 자음 어미가 오며 ‘븓고’와 같이 ‘븓-’의 형태로 쓰였고 16세기 문헌에는 ‘븥다’의 분철 표기인 ‘븟트니’ 등이 쓰이기 시작하였다. 근대 국어 시기에 원순 모음화를 경험하여 모음 ‘ㅡ’가 ‘ㅜ’로 바뀌었어도 받침의 표기는 여전히 다양하였는데 ‘붓다’의 형태로도 나타나기도 하며 ‘붙다’의 분철 표기인 ‘붓ㅌ-’도 나타나기도 한다. |
---|---|
이형태/이표기 | 븥다, 븓다, 브티기다, 븟ㅌ다, 붓다, 붓ㅌ다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