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붇따발음 듣기]
활용
붙어[부터발음 듣기], 붙으니[부트니발음 듣기], 붙는[분는발음 듣기]
품사/문형
「동사」 【…에】
「001」맞닿아 떨어지지 아니하다.
전신주에 광고 쪽지가 붙어 있었다.
모든 공산품에는 상표가 붙어 있다.
화장실에서 나오던 그의 발걸음이 얼어붙듯 땅에 붙고 만다.
명희는 엉덩이가 의자에 붙어 버린 것처럼 일어설 수가 없었다.≪박경리, 토지≫
남편을 보고 마루로 오르려는 두전댁 한쪽 발에 신이 붙어 벗겨지지 않았다.≪송기숙, 녹두 장군≫

관련 어휘

지역어(방언)
부뜨다(제주), 부트다(제주)
옛말
븥다

역사 정보

븥다(15세기~18세기)>붙다(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붙다’의 옛말인 ‘븥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이 단어는 ‘ㅂ’ 뒤에서 모음 ‘ㅡ’가 ‘ㅜ’로 바뀌는 원순 모음화 되는 현상에 따라 ‘븥’이 ‘붙’으로 바뀌었다. ‘븥다’는 받침 규칙에 따라 자음 어미가 오며 ‘븓고’와 같이 ‘븓-’의 형태로 쓰였고 16세기 문헌에는 ‘븥다’의 분철 표기인 ‘븟트니’ 등이 쓰이기 시작하였다. 근대 국어 시기에 원순 모음화를 경험하여 모음 ‘ㅡ’가 ‘ㅜ’로 바뀌었어도 받침의 표기는 여전히 다양하였는데 ‘붓다’의 형태로도 나타나기도 하며 ‘붙다’의 분철 표기인 ‘붓ㅌ-’도 나타나기도 한다.
이형태/이표기 븥다, 븓다, 브티기다, 븟ㅌ다, 붓다, 붓ㅌ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븥다, 븓다, 브티기다)
어버 여희고  브터 이쇼 어 아이 입게 사노다 ≪1447 월곡 52ㄱ
머리 우희 블 븓고 누니 핏무적 고 ≪1447 석상 6:33ㄱ
着 브티 씨라 ≪1447 석상 13:23ㄴ
16세기 : (븥다, 븓다, 븟ㅌ다,)
그러나  自然 道理 아로 브터 다려 닷고미 업슨 젼로 ≪1522 법집 32ㄱ
本草의 石雄黃을 사미 면 귀시니 븓디 몯니라 ≪1542 분문 9ㄱ
거말이 두어히 손락애 븟터 나거늘 ≪1581 속삼-중 효:5ㄱ
17세기 : (븥다, 븓다, 븟다, 붙다)
지비 블 브트매 젼시 블 가온대 무룹 드러 ≪1617 동신속 열2:14ㄴ≫
 오  우희 치블근 이 내 븓디 몯니 ≪1608 언두 상:24ㄱ
頂바기 前後에 넘궈 아래로 武의 븟게 고 ≪1632 가언 1:45ㄴ
마 됴흔 順風에 옏지 부트시니 大慶이로소이다 ≪1748 첩신-개 6:20ㄴ
18세기 : (븥다, 븓다, 븟ㅌ다, 붓다)
火ㅣ 처음 브트며1749 맹율 2:36ㄱ
져근  벌어지 數업시 몸애 븓고  갓과 과 이예 드러 도로 라나니 ≪1737 어내 2:36ㄴ
일즉 밤에 집이 블 븟트니 좌위 피믈 권대 ≪1797 오륜 열:2ㄱ
火燒 불 붓다1790 몽해 상:49ㄴ
19세기 : (붙다, 붓다, 붓ㅌ다)
죄  쟈 귀로 부트문 귀가 처음으로 죄 범미니 ≪1887 성 요한일서 3:9≫
 나 사의 권셰에 붓고 군사 게 붓터사니 명여 라 ≪1887 성전 마태복음 8:9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