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어렵따발음 듣기]
활용
어려워[어려워발음 듣기], 어려우니[어려우니발음 듣기]
품사
「형용사」
「001」하기가 까다로워 힘에 겹다.
어려운 수술.
시험 문제가 어렵다.
협상은 어렵지 않게 타결되었다.
나는 이 일을 결정하기가 어렵다.
이만 명의 군사로써 십만이 되는 고구려, 백제의 연합군을 물리친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닐 수 없었다.≪홍효민, 신라 통일≫
석탄을 캔다는 일은 사실 여간 어려운 작업이 아니었다.≪홍성암, 큰물로 가는 큰 고기≫
아내 혼자서 제사를 차리기는 어려울 일이었다.≪마해송, 아름다운 새벽≫
물속의 바위는 몸을 가누기가 어려울 정도로 미끄러웠다.≪안정효, 하얀 전쟁≫

역사 정보

어렵다(15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어렵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어렵다’로 나타나 현재에 이르렀다. 15세기에 ‘어렵-’은 자음으로 시작되는 어미 앞에서는 현대 국어와 마찬가지로 ‘어렵-’이지만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어-’으로 교체되었다. 16세기 초까지 ‘어-’이 보이다가 ‘ㅸ’이 사라지면서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 ‘어려우-’라는 어간이 나타나게 된다. ‘어려우-’는 15세기 중반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여 현재까지 이어지는 교체형이다. 그런데 16세기부터는 ‘어려우-’와 ‘어려오-’가 함께 나타나 19세기까지 공존한다. 그러다가 20세기에 ‘어렵-’과 ‘어려우-’가 어간으로 확정되어 현재에 이르렀다.
이형태/이표기 어렵-, 어-, 어려우-, 어려오-
세기별 용례
15세기 : ((어렵-, 어-, 어려우-, 어려오-))
邪曲 道理 信야 正 法 쵸미 어렵더니1447 석상 6:21ㄴ
부텨 맛나미 어려며 法 드로미 어려니 ≪1447 석상 6:10ㄴ-11ㄱ
藥王아 니샤 諸佛 니샨 信호미 어려운 기픈 經은 淸淨야 ≪1461 능엄 1:3ㄴ
내 德 갑오미 어려오니1496 육조 하:17ㄴ
16세기 : ((어렵-, 어-, 어려우-, 어려오-))
네  일 가기 말라 내 드로니 앏픠 길 어렵다다 ≪1510년대 번노 상:26ㄴ
눈 衲僧  點도 소교미 어려니 리 니라 ≪1517 몽산-고 48ㄱ
구룸 티 노 벼스 히모로 닐위요미 어려우니라 말 브텨 여러 아기네려 니노니 ≪1518 번소 6:28ㄱ
유셔 벼스 오래 이쇼미 어려오니  엇디 ≪1518 번소 6:27ㄱ
17세기 : ((어렵-, 어려우-, 어려오-))
밧 실면 돋기 어렵고 안히 허면 더데 짓 어려우니라 ≪1608 언두 상:56ㄴ
그림재 업스면 비록 경  여도 고티기 어려우니1608 언두 상:55ㄱ
사으로 여곰 行호미 어려오니 後에 聖인이 닐어나리 이시면 ≪1632 가언 7:31ㄴ
18세기 : ((어렵-, 어려우-, 어려오-))
널로 여 알라 기 어렵다 사의 어미 되야 ≪1721 오륜전비 2:1ㄴ
진실로 셰샹의 셔며 사의게 말홈이 어려우니1737 어내 서:6ㄱ
이런 사은 世間에 엇기 어려오니 맛당히 古人中에 求리로다 ≪1721 오륜전비 2:3ㄴ
19세기 : ((어렵-, 어려우-, 어려오-))
곡식 셕 과고  길이 멀어 슈운키 어렵다 니 ≪1852 태상 2:28ㄴ
 오 잇셔 집 짓기 기리기 어려우니 원컨 갑슬 쳐 갑흐리라 고 인여 ≪1852 태상 5:46ㄱ
동졍녀 산심의 영화로온 빗 보기 어려오니1865 주년 54ㄴ

관용구·속담(1)

관용구어려운 걸음(을) 하다
일이 바쁘거나 너무 멀어서 좀처럼 가기 힘든 곳을 가거나 오다.
  • 어려운 걸음 하셨는데 애 아버지가 없어서 정말 애석합니다. ≪박경리, 토지≫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