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어렵따

- 활용
- 어려워[어려워


- 품사
- 「형용사」
- 「001」하기가 까다로워 힘에 겹다.
- 어려운 수술.
- 시험 문제가 어렵다.
- 협상은 어렵지 않게 타결되었다.
- 나는 이 일을 결정하기가 어렵다.
- 이만 명의 군사로써 십만이 되는 고구려, 백제의 연합군을 물리친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닐 수 없었다.≪홍효민, 신라 통일≫
- 석탄을 캔다는 일은 사실 여간 어려운 작업이 아니었다.≪홍성암, 큰물로 가는 큰 고기≫
- 아내 혼자서 제사를 차리기는 어려울 일이었다.≪마해송, 아름다운 새벽≫
- 물속의 바위는 몸을 가누기가 어려울 정도로 미끄러웠다.≪안정효, 하얀 전쟁≫
관련 어휘
- 반대말
- 쉽다
- 지역어(방언)
- 애렵다(강원), 애룹다(강원, 경북, 전남, 충북), 어럽다(강원, 경상, 전라, 충청, 평안, 함경, 중국 길림성, 중국 요령성, 중국 흑룡강성), 어룹다(강원, 경남, 평안), 어릅다(강원, 경상, 전남, 평안), 에럽다(강원, 경상, 전라, 충북), 에렙다(강원), 에렵다(강원, 제주), 에롭다(강원, 경상, 전남, 평남), 에룹다(강원, 경상, 전남, 충북, 평안), 에릅다(강원, 경남, 전남), 어립다(경기, 경상, 전라, 충남, 평안, 함경, 중국 길림성, 중국 요령성), 아렵다(경남, 중국 흑룡강성), 에랍다(경북), 이룹다(경북), 이럽다(경상), 에립다(전남), 어러웁다(전라), 외룹다(전북), 어르-만지다(제주), 이릅다(충북), 바쁘다(함북, 중국 흑룡강성), 살란-하다(함북), 어렙다(함북, 중국 길림성)
역사 정보
어렵다(15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어렵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어렵다’로 나타나 현재에 이르렀다. 15세기에 ‘어렵-’은 자음으로 시작되는 어미 앞에서는 현대 국어와 마찬가지로 ‘어렵-’이지만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어-’으로 교체되었다. 16세기 초까지 ‘어-’이 보이다가 ‘ㅸ’이 사라지면서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 ‘어려우-’라는 어간이 나타나게 된다. ‘어려우-’는 15세기 중반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여 현재까지 이어지는 교체형이다. 그런데 16세기부터는 ‘어려우-’와 ‘어려오-’가 함께 나타나 19세기까지 공존한다. 그러다가 20세기에 ‘어렵-’과 ‘어려우-’가 어간으로 확정되어 현재에 이르렀다. |
---|---|
이형태/이표기 | 어렵-, 어-, 어려우-, 어려오-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1)
- 관용구어려운 걸음(을) 하다
- 일이 바쁘거나 너무 멀어서 좀처럼 가기 힘든 곳을 가거나 오다.
- 어려운 걸음 하셨는데 애 아버지가 없어서 정말 애석합니다. ≪박경리, 토지≫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