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부리다발음 듣기]
활용
부리어[부리어발음 듣기/부리여발음 듣기](부려[부려]), 부리니[부리니]
품사/문형
「동사」 【…을】
「001」마소나 다른 사람을 시켜 일을 하게 하다.
일꾼을 부리다.
사람을 공짜로 부려 먹다.
소를 부려서 논을 갈다.
집안일이 많아서 따로 사람을 부렸다.
그는 사람을 부리는 재주가 있다.
명화는 부리는 계집애에게 이불을 해 들리고….≪현진건, 적도≫
평등을 일컫는 자가 스스로 교인들의 아비라 일컫고 교인을 하인으로 부려 교자를 메게 하니 도대체 그런 언어도단이 어디 있습니까.≪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너희들은 영어를 배우기 위해선 철저하게 나를 부려 먹어야 한다.≪이병주, 지리산≫
본시 우리 집은 상당한 문벌이었고 수많은 종을 부리는 처지였는데 아버지가 반일 인사로 주목받아 풍비박산이 되었고 결국 망명길을 떠나게 됐다.≪박경리, 토지≫

역사 정보

브리다(15세기~18세기)>부리다(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부리다’의 옛말인 ‘브리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브리다’가 ‘부리다’로 변화한 것은 ‘브리다’의 ‘브’가 ‘ㅂ’의 영향으로 ‘ㅡ’가 ‘ㅜ’로 바뀌는 원순 모음화 된 결과이다. 원순 모음화 현상은 18세기에 일반화되는데 ‘브리다’와 ‘부리다’도 18세기에 공존하였다. 19세기에는 ‘브리다’는 쓰이지 않고 ‘부리다’가 쓰이기 시작하면서 현재에까지 이어져 쓰이고 있다.
이형태/이표기 브리다, 브리우다, 부리오다, 블이다, 부리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브리다)
王이 左右 梵志 브리샤1447 석상 3:11ㄱ
長者 브리시니 長者ㅣ실 秦民 깃기시니 ≪1447 용가 45
16세기 : (브리다, 브리우다)
사돈짓아미 브리  다 야 오라 ≪1510년대 번노 하:56ㄴ
이 활 브리우라 오 쟉고 고재 뎌다 ≪1510년대 번노 상:67ㄴ
17세기 : (브리다, 브리오다)
秦ㅅ 時節에 商鞅 브리니 法令이 터리티 하니라 ≪1632 두시-중 3:56ㄴ
선 잡사을 브리오디 못게 엿니 ≪1670 노언 상:43ㄱ
18세기 : (브리다, 브리오다, 블이다, 부리다)
싀아비 싀어미 며느리 브리거시든 게어르디 말며 ≪1737 어내 1:46ㄴ
代官方에 사을 브리올 거시니 ≪1748 첩신-개 2:23ㄱ
비록 블이 사이라도 사오나온 말로 짓디 몯게  故로 ≪1737 어내 3:28ㄱ
이 놈은 죠곰도 간이 업오매 부리기 거복외 ≪1790 인어 2:6ㄱ
19세기 : (부리다)
턴쥬의 보내여 부리시 사은 반시 텬쥬 명에 츙셩을 다야 ≪1865 주년 102ㄱ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