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발키다

- 활용
- 밝히어[발키어




- 품사/문형
- 「동사」 【…을】
- 「001」불빛 따위로 어두운 곳을 환하게 하다. ‘밝다’의 사동사.
- 어둠을 밝히다.
- 조명탄이 사방을 밝히다.
- 그을음 거멓게 묻은 남폿불이 그들의 모습을 어슴푸레하게 밝혀 주고 있었다.≪한승원, 해일≫
- 알전구 불빛이 그의 얼굴을 적나라하게 밝혔다.≪최인호, 지구인≫
- 상가의 불빛이 저마다 영롱한 빛깔로 거리를 밝혔다.≪이동하, 도시의 늪≫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밝-헤다(강원, 전라), 밝기-하다(경남), 볽-히다(경상, 전남), 볽-헤다(전남), 밝-이다(충남)
- 옛말
- 기다
역사 정보
기다(15세기~17세기)>키다(17세기~19세기)>발키다(19세기)>밝히다(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밝히다’의 옛말인 ‘기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이 단어는 ‘밝다’의 뜻인 ‘-’에 사동 접미사 ‘-이-’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단어이다. 17세기에는 사동 접미사 ‘-히-’가 결합된 ‘키다’가 쓰였으며 19세기에는 ‘ㆍ’의 음가 변동으로 ‘’이 ‘발’로 바뀐 ‘발키다’가 쓰였다. 20세기 초 맞춤법이 확산되면서 현재의 어형이 정착되었다. |
---|---|
이형태/이표기 | 기다, 키다, 밝이다, 이다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