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덥따

- 활용
- 덮어[더퍼



- 품사/문형
- 「동사」 【…을 …에】【…을 …으로】
- 「001」물건 따위가 드러나거나 보이지 않도록 넓은 천 따위를 얹어서 씌우다.
- 책상보를 책상에 덮다.
- 그는 이불을 머리에 덮고서는 마구 울었다.
- 한 주임은 의자 등받이에 몸을 묻은 채 신문으로 얼굴을 덮고 곧 오수에 빠져 들었다.≪김원일, 불의 제전≫
- 밥상을 상보로 덮다.
- 몰래 마시고 있던 술을 신문지로 덮었지만 다 가려지지 않았다.
- 자배기에 물을 부어서 쏟아 담고 간장독 위에 올려놓자. 그리고 그 위에 광주리를 덮어 두자.≪이기영, 봄≫
역사 정보
둪다(15세기~17세기)>덮다(15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덮다’의 옛말인 ‘둪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어간의 모음이 오늘날과 같이 ‘ㅓ’인 ‘덮다’도 15세기 중반 이후부터 17세기까지 공존했다. 18세기 이후 ‘ㅜ’ 모음의 ‘둪다’는 사라지고 ‘ㅓ’ 모음의 ‘덮다’가 정착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둪다’와 ‘덮다’가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할 때에는 8종성법에 의하여 ‘둡고, 둡니라’, ‘덥고, 덥게’와 같이 종성을 ‘ㅂ’으로 표기하였다. 16세기부터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 어간의 종성은 8종성법에 따라 ‘ㅂ’으로 모음 어미가 결합하는 초성은 ‘ㅍ’으로 표기하는 중철표기를 보였다. 이후 17세기부터 모음어미와 결합할 때에도 ‘ㅍ’을 ‘ㅂ’과 ‘ㅎ’으로 나누어 적는 재음소화 표기를 보여 ‘덥퍼’, ‘덥허’와 같은 표기가 나타나기도 하였다. |
---|---|
이형태/이표기 | 둪-, 둡-, 덮-, 덥-, 덥ㅍ-, 덥ㅎ- |
세기별 용례 |
|
다중 매체 정보(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