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쓰다

- 활용
- 써[써


- 품사/문형
- 「동사」 【…에 …을】
- 「005」모자 따위를 머리에 얹어 덮다.
- 모자를 쓰다.
- 삿갓을 쓰다.
- 머리에 가발을 쓰다.
- 머리에 면사포를 쓴 신부가 입장했다.
- 그는 차석이 되고 새로 맞춰 입은 말쑥한 정복에 날아갈 듯한 경찰모를 썼고, 체격이 당당한 진석구 중사는 군복 차림으로 허리에 권총을 차고 있었다.≪김원일, 불의 제전≫
- 종세는 마술사 최 씨처럼 검은 양복에 검은 모자를 쓰게 되었으며 마술사 최 씨가 다니는 곳엔 어디든지 따라다니게 되었다.≪최인호, 지구인≫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씨다(강원, 경북), 시다(경북)
- 옛말
- 스다
역사 정보
쓰다(15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쓰다’의 옛말인 ‘쓰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5세기~17세기 문헌에는 ‘쓰다’와 함께 ‘스다’가 공존하였는데, 이는 1465년 ≪원각경언해≫ 간행 때부터 각자병서를 표기에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16세기 이후 각자병서가 표기에 다시 사용되면서 ‘쓰다’가 일반화되었다. 한편 17세기~18세기 문헌에는 ‘다’로 표기되기도 하였는데, 이는 근대국어 시기에 어두자음군이 사라지면서 중세국어에서 어두자음군이었던 ‘ㅄ’이 ‘ㅅ’의 된소리로 변화하여 이 시기에 ‘ㅅ’의 된소리 표기에서 ‘ㅆ’과 ‘ㅄ’이 혼동되었기 때문이다. |
---|---|
이형태/이표기 | 쓰다, 스다, 다 |
세기별 용례 |
|
다중 매체 정보(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