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달려들다

- 활용
- 달려들어[달려드러

- 품사/문형
- 「동사」 【…에/에게】【…으로】
- 「001」사나운 기세로 무섭게 다가들다.
- 그는 며칠을 굶은 사람처럼 밥상에 달려들었다.
- 사냥개가 곰에게 달려들었다.
- 그들은 적진으로 달려들었다.
- 굶주린 사람들이 먹을 것을 보고 밥상으로 달려들기 시작했다.
- 버스가 정차하기도 전에 사람들은 차 앞으로 달려들었다.
관련 어휘
역사 정보
여들다(15세기~16세기)>려들다(17세기~19세기)>달려들다(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달려들다'의 옛말인 '여들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여들다'는 "달리다"의 의미인 '-'에 연결 어미 '-어'가 결합한 '여'와 '들어가다"의 의미인 '들다'가 결합한 것이다. 16세기 이후 후두 유성 마찰음이 소멸됨에 따라 어중의 'ᄅᄋ'이 'ᄅᄅ'로 표기됨에 따라 17세기에 '려들다'가 나타난다. 18세기 중반 이후 제1음절 'ᆞ'가 'ᅡ'로 변화됨에 따라 20세기에는 '달려들다'가 나타나 현재에 이르렀다. 근대 국어 시기에 어중의 'ᄅᄅ'은 'ᄅᄂ'으로 표기되는 경향이 있었는데, 이에 따라 '*녀들다'도 문증되지 않지만,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19세기의 '달녀들다'는 '*녀들다'의 제1음절 'ᆞ'가 'ᅡ'로 변화한 형태이다. 15세기에 '여들다'와 유사한 의미로 사용된 단어로는 '라들다'가 있다. '라들다'는 "달리다"의 의미인 '-'에 연결 어미 '-아'가 결합한 '라'와 "들어가다"의 의미인 '들다'가 결합한 것이다. |
---|---|
이형태/이표기 | 여들다, 려들다, 달녀들다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