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바치다

- 활용
- 바치어[바치어




- 품사/문형
- 「동사」 【…에/에게 …을】
- 「001」신이나 웃어른에게 정중하게 드리다.
- 새로 부임한 군수에게 음식을 만들어 바쳤다.
- 신에게 제물을 바쳐 우리 부락의 안녕을 빌었다.
- 몸소 남문 이십 리 밖의 산천단에 올라가 한라산 산신께 살찐 송아지 하나를 희생하여 바치고 축문을 읽었다.≪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 오래전 공동묘지 위령탑에 들꽃을 바치며 부모의 명복을 빌던 그 앳되고 귀여운 소녀티는 이제 없었다.≪박완서, 오만과 몽상≫
역사 정보
바티다(15세기~19세기)>바치다(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바치다’의 옛말은 ‘바티다’로서 이 어형은 15세기부터 19세기까지 쓰였다. 그러나 일반적인 경우에는 ‘티’는 ‘치’로 변화하는 구개음화를 겪게 되므로 17세기 늦어도 18세기에는 ‘치’로 변한 형태가 출현한다. ‘바티다’의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19세기까지도 구개음화를 입지 않은 어형이 쓰인 것이다. 17세기에는 ‘바티다’의 중철 표기인 ‘밧티다’도 쓰였으며, 18세기에는 또 다른 중철 표기인 ‘밧치다’도 보인다. ‘바치다’는 어원적으로는 ‘받다’에 사동 접미사 ‘-히-’ 결합되어 형성된 단어이다. |
---|---|
이형태/이표기 | 바티다, 밧티다, 밧치다, 받히다, 바치다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