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살ː다발음 듣기]
활용
살아[사라발음 듣기], 사니[사ː니발음 듣기], 사오[사ː오발음 듣기]
품사
「동사」
「001」생명을 지니고 있다.
그는 백 살까지 살았다.
죽든 살든 아무려나 저들을 효유하여 마음을 돌이켜 놓기 전에는 돌아오지 않을 작정이오!≪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관련 어휘

반대말
운-하다(殞하다), 죽다
지역어(방언)
쌀다(황해)

역사 정보

살다(15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살다’는 15세기부터 나타나서 현재까지 이어진다.
이형태/이표기 살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살다)
居는 씨니 ≪1447 석상 3:16ㄱ
곧 모로매 드나로 시름고 사도 제 東西 아디 몯니라 ≪1481 두시-초 21:4ㄱ
16세기 : (살다)
거 ≪1576 신합 상:24ㄱ
거 處 쳐 ≪1527 훈몽 하:8ㄴ
거 ≪1575 천자-광 31ㄴ
어버의 몽상애다 시묘을 삼년식 살고 탈상야도 소곰과 쟝을 먹디 아니더니 ≪1581 속삼-중 효:35ㄱ
17세기 : (살다)
오 역이 니 열헤 너덧시 살거니와 거믄 이 열헤 나흘 구티 몯니 ≪1608 언두 하:25ㄱ
18세기 : (살다)
나도 살기 오래디 아닐 시니 ≪1721 오륜전비 4:28ㄱ
19세기 : (살다)
졸이 긔운이 업셔 눈물 두루고 팔 여 ≪1832 십구 2:31ㄱ
반나마 쥭엇거 갓오슬 버셔 닙히고 붓드러 녀 보니라 ≪1852 태상 1:23ㄴ

관용구·속담(13)

관용구살 구멍(을) 뚫다
살아갈 길을 찾아내다.
  • 남편이 실직했으면 자네라도 어떻게 해서든 살 구멍을 뚫어 봐야 하지 않겠나?
속담산 개 새끼가 죽은 정승보다 낫다
아무리 천하더라도 살아 있는 것이 죽은 것보다는 낫다는 뜻으로, 세상을 비관하지 말고 살아가라는 말. <동의 속담> ‘죽은 정승이 산 개만 못하다
속담산 눈깔 빼 먹을 놈
살아 있는 사람의 눈알을 빼 먹을 만큼 지독한 놈이라는 뜻으로, 남을 속이고 자기의 이익만 차리려는 악독하고 교활한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속담산 닭 길들이기는 사람마다 어렵다
여간해서 말을 잘 듣지 않는 산 닭을 길들이기는 누구에게나 어렵다는 뜻으로, 제멋대로 버릇없이 자라난 사람을 교육하기는 몹시 어려운 일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생마 잡아 길들이기
속담산 닭 주고 죽은 닭 바꾸기도 어렵다
산 닭을 가지고도 죽은 닭 구하기가 어렵다는 뜻으로, 대수롭지 않은 것도 정작 필요하여 구하려고 하면 구하기가 어려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산 범의 눈썹을 뽑는다
살아 있는 범의 눈썹을 뽑는다는 뜻으로, 감히 손댈 수 없는 위험한 짓을 목숨 걸고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산 사람 눈 빼 먹겠다
살아 있는 사람의 눈까지도 빼 먹을 수 있을 만큼 인심이 몹시 야박하고 험악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산 사람은 아무 때나 만난다
사람은 죽지 않고 살아 있으면 언젠가는 만나게 된다는 뜻으로, 다시 안 볼 것처럼 야박하게 끊지 말라는 말.
속담산 (사람) 입에 거미줄 치랴
거미가 사람의 입안에 거미줄을 치자면 사람이 아무것도 먹지 않아야 한다는 뜻으로, 아무리 살림이 어려워 식량이 떨어져도 사람은 그럭저럭 죽지 않고 먹고 살아가기 마련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사람이 굶어 죽으란 법은 없다
속담산 송장 살아 있어도 죽은 목숨
비록 살아 있기는 하나 사람 구실을 못하는 것은 죽은 목숨이나 마찬가지라는 말.
속담산 호랑이 눈썹도 그리울 게 없다
매우 귀한 산 호랑이의 눈썹까지도 그리울 게 없을 정도라는 뜻으로, 모든 것이 다 갖추어져 있어 무엇 하나 아쉬운 것이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산 호랑이 눈썹 (찾는다)
살아 있는 호랑이 눈썹을 찾는다는 뜻으로, 도저히 구할 수 없는 것을 구하려고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살아 삼 배 죽어 삼 배
사람은 죽은 다음에도 자손들이 제사를 지낼 때 술 석 잔은 부어 주는 법인데 살아 있을 때 석 잔 술도 못 마시겠느냐는 뜻으로, 술 마시는 자리에서 석 잔도 마시지 않고 사양하는 사람에게 술을 권하면서 하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