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모ː시다발음 듣기]
활용
모시어[모ː시어발음 듣기/모ː시여발음 듣기](모셔[모ː셔발음 듣기]), 모시니[모ː시니발음 듣기]
품사/문형
「동사」 【…을】
「001」웃어른이나 존경하는 이를 가까이에서 받들다.
손님을 잘 모시다.
시부모님을 모시고 살다.
이 회사는 고객을 정성껏 모시도록 사원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정 많으신 상감마마를 잘 모셨기 때문에 아무 한탄이 없이 이 세상을 즐겁게 잘 지냅니다.≪박종화, 다정불심≫
두어 시간 걸려 그 제대 군인의 숙소와 이름, 그리고 그가 사변 때 변 소장을 연대장으로 모신 일이 있었다는 것을 알아내고 남산으로 돌아왔다.≪장용학, 위사가 보이는 풍경≫

역사 정보

뫼시다(15세기~19세기)>모시다(16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모시다’의 옛말인 ‘뫼시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6세기에 제1음절의 이중모음 ‘ㅚ’에서 반모음 ‘ㅣ’가 탈락하여 ‘모시다’로 나타나기 시작하면서 19세기까지 ‘뫼시다’와 ‘모시다’가 공존하였다. 이후 ‘모시다’가 정착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이형태/이표기 뫼시다, 모시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뫼시다)
婇女ㅣ 기베 안 어마긔 오더니 大神히 뫼시니 ≪1447 월천 9ㄱ≫
내 香水로 브를 고 부텻 舍利 뫼셔다가 供養리라 ≪1447 석상 23:46ㄱ
16세기 : (뫼시다, 모시다)
三年이도록 돌아가 뫼시디 아니 이 잇거늘 내티니라 ≪1588 소언 6:7ㄴ
先生 뫼셔 안자셔 先生이 묻거시든 마 마셔 답며 ≪1518 번소 3:28ㄴ-29ㄱ
싀어미 病얏거늘 모셔 이셔 藥 더이 게을이 아니니 히 일더라 ≪1514 속삼 열:8ㄱ
17세기 : (뫼시다, 모시다)
일 아비 주그니 어미 뫼셔 지극 효도더니 ≪1617 동신속 열4:6ㄴ≫
뎡유왜란애 싀어미 뫼시고 도적을 피더니 ≪1617 동신속 효8:23ㄴ≫
信使 모셔 갈 쟉시면 사마다 기려야 ≪1676 첩해-초 5:27ㄴ≫
대되 잔채 일로 깃티니 업시 모시게 라 ≪1676 첩해-초 7:19ㄱ≫
18세기 : (뫼시다, 모시다)
셩조 셩을 뫼시고 이 티 승환시 우 차홉다 ≪1763 경문속 2ㄴ
셕딘이 듀야로 겻 뫼셔 하긔 브르지디며 두로 의약을 구니 ≪1797 오륜행실도 효64ㄱ≫
信使 모셔 갈쟉시면 사마다 기려야 ≪1748 개수첩해신어 5:40ㄱ≫
 一行 上下 대되 긷치니 업시 잔에 모시게 라 ≪1748 개수첩해신어 7:27ㄴ≫
19세기 : (뫼시다, 모시다)
뫼시다 侍 ≪1880 한불 242
뎨군의 화상  본을 뫼셔 도라 왓더니 이졔  붓슬 잡아 이 의 셔문을 니 ≪1876 남궁 2ㄴ
형슈를 모시고 둘 이 업도다 ≪1883 명성경 17ㄱ≫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