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모ː시다

- 활용
- 모시어[모ː시어




- 품사/문형
- 「동사」 【…을】
- 「001」웃어른이나 존경하는 이를 가까이에서 받들다.
- 손님을 잘 모시다.
- 시부모님을 모시고 살다.
- 이 회사는 고객을 정성껏 모시도록 사원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 정 많으신 상감마마를 잘 모셨기 때문에 아무 한탄이 없이 이 세상을 즐겁게 잘 지냅니다.≪박종화, 다정불심≫
- 두어 시간 걸려 그 제대 군인의 숙소와 이름, 그리고 그가 사변 때 변 소장을 연대장으로 모신 일이 있었다는 것을 알아내고 남산으로 돌아왔다.≪장용학, 위사가 보이는 풍경≫
관련 어휘
역사 정보
뫼시다(15세기~19세기)>모시다(16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모시다’의 옛말인 ‘뫼시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6세기에 제1음절의 이중모음 ‘ㅚ’에서 반모음 ‘ㅣ’가 탈락하여 ‘모시다’로 나타나기 시작하면서 19세기까지 ‘뫼시다’와 ‘모시다’가 공존하였다. 이후 ‘모시다’가 정착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
---|---|
이형태/이표기 | 뫼시다, 모시다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