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맏따발음 듣기]
활용
맡아[마타발음 듣기], 맡으니[마트니발음 듣기], 맡는[만는발음 듣기]
품사/문형
「동사」 【…을】
「001」어떤 일에 대한 책임을 지고 담당하다.
담임을 맡다.
아무리 작은 일이라도 맡은 일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
이번 임무는 내가 직접 맡는다.
나도 불시에 이런 큰살림을 맡게 되어 어리둥절합니다마는 잘 보살펴 주십시오.≪염상섭, 삼대≫

관련 어휘

역사 정보

다(15세기~18세기)>다(17세기~19세기)>맡다(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맡다’의 옛말인 ‘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다’는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맛-’,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으로 어간이 교체되었는데, 실제 문헌상으로는 17세기까지 모음 어미와 결합한 예가 주로 나타난다. 17세기에는 어간말 ‘ㅼ’이 ‘ᄹ’으로 바뀐 ‘다’ 형태가 등장하였고, 여기에서 ‘ㅅ’이 탈락하여 현대 국어의 ‘맡다’ 형태가 등장하게 되었다.
이형태/이표기 다, 다, 맛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다)
商德이 衰거든 天下 맛시릴 西水ㅅ  져재 니 ≪1447 용가 6
大闕ㅅ 東山디기 果實 맛다셔 새 이길 잇비 너기더니 ≪1459 월석 22:14ㄱ
16세기 : (다)
내 벼스를 맛다셔  벼슬엣 이를 아니며 ≪1518 번소 8:26
옷 고의 감토 훠란 다 이 궤 안해 노하 두워  맛 사 맛뎌 보라 고 ≪1510년대 번박 상:52ㄴ
17세기 : (다, 다)
맛든 흘 안야 셩의 풍쇽을 필 ≪1658 경민-개 서:2ㄱ
임진왜난의 샹 목 되1여셔 내 맛  나디 아니고 의병을 쇼모야 뫼화 ≪1617 동신속 충1:48ㄴ≫
18세기 : (다, 맛다)
너희 다 날에 人民과 社稷 맛듬이 잇니 더옥 반시 忠厚 만히 여야 손이 길리니 ≪1737 어내 2:94ㄱ
領狀 公事 맛다 ≪1775 역해-보 8ㄴ≫
19세기 : (다, 맛다)
맛다 任 ≪1880 한불 227
만일 민간의셔 텰로 맛타 짓 쟤 이시면 ≪1883 이언 1:40ㄴ
재물 맛타라 司貨 掌物 ≪1895 국한 253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