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초승딸

- 품사
- 「명사」
- 「001」음력 초하루부터 며칠 동안 보이는 달. 초저녁에 잠깐 서쪽 지평선 부근에서 볼 수 있다.
- 초승달 같은 눈썹.
- 초승달이 뜨다.
- 산머리에 낫 같은 초승달이 걸렸다.
- 하늘에는 초승달 뒤에 별이 총총 나 있었다.≪박경리, 토지≫
관련 어휘
역사 정보
初生ㅅ(15세기~17세기)>초ㅅ(18세기)>초달(19세기)>초승달(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초승달’의 옛말인 ‘初生ㅅ’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初生ㅅ’은 한자어 ‘초생(初生), 사이시옷, “달”을 뜻하는 ’‘이 결합된 것이다. 初生ㅅ’을 한글로 표기한 ‘초’은 18세기 문헌에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18세기에 제1음절의 ‘ㆍ’가 ‘ㅏ’로 변하였는데 ‘’도 이 변화를 겪어 ‘달’이 된다. 19세기 문헌에 나타난 ‘초달’은 제2음절 모음 ‘ㆎ’가 ‘ㅡ’로 바뀌어 20세기 이후 ‘초승달’로 바뀌는데 ‘ㆎ’가 ‘ㅡ’로 변하는 과정과 이유는 분명하게 설명하기 어렵다. ‘(生)’이 ‘승’으로 변하는 것은 ‘초승달’ 외에도 ‘이승’, ‘저승’ 등이 있다. |
---|---|
이형태/이표기 | 初生ㅅ, 초ㅅ달, 초달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1)
- 속담초승달은 잰 며느리가 본다
- 음력 초사흗날에 뜨는 달은 떴다가 곧 지기 때문에 부지런한 며느리만이 볼 수 있다는 뜻으로, 슬기롭고 민첩한 사람만이 미세한 것을 살필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초사흘 달은 잰 며느리가[며느리라야] 본다’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