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한ː데]
- 품사
- 「명사」
- 「002」사방, 상하를 덮거나 가리지 아니한 곳. 곧 집채의 바깥을 이른다.
- 몸도 안 좋은데 한데 너무 오래 있지 마라.
- 식구 여섯에 집이 없으니 당장 한데서 잘 판이 되어 버린 거죠.≪홍성원, 육이오≫
- 한데나 다름없는 대합실 안은 새벽이면 이불을 덮었어도 추웠다.≪채만식, 소년은 자란다≫
역사 정보
한(15세기~19세기)>한데(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한데’의 옛말인 ‘한’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한’는 ‘한’과 “장소”를 의미하는 의존명사 ‘’가 결합한 것인데, ‘한’은 “바깥”을 의미하는 것으로 추정되나 ‘한’ 외에 달리 쓰인 예가 나타나지 않아 정확히 파악하기는 어렵다. 19세기 이후로 제2음절의 모음 ‘ㆎ’가 ‘ㅔ’로 변하여 현대 국어와 같은 ‘한데’ 형태가 등장하게 되었다. 근대국어 후기에 모음 ‘ㆍ’가 ‘ㅏ’와 소리가 같아지면서 이중모음 ‘ㆎ’는 대개 ‘ㅐ[ay]’와 소리가 같아지고 이것이 다시 단모음 [ɛ]로 변화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의존명사 ‘’의 경우는 ‘ㆎ’가 ‘ㅔ’로 변화한 점이 특이하다. |
---|---|
이형태/이표기 | 한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3)
- 관용구한데(에) 나앉다
- 집이 없어 한데에 살림을 펴다.
- 한데 나앉게 된 아줌마에게 지하실을 집세 없이 내주겠다고 자청한 집이 있었던 것이다. ≪박완서, 흑과부≫
- 속담한데 방앗간의 피나무 쌀개
- 피근피근하고 고단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한데 앉아서 음지 걱정한다
- 자기 일도 못 꾸려 가면서 남의 걱정을 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