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잡쑫따

- 활용
- 잡숫는[잡쑨는

- 품사/문형
- 「동사」 【…을】
- 「002」‘잡수시다’의 준말.
- 진지를 잡숫다.
- 약을 잡숫다.
- 조반을 잡숫다.
- 할아버지, 이젠 들어가세요. 한증막 같은 데 계시다간 더위를 잡숫게 돼요.≪오정희, 적요≫
역사 정보
잡다(17세기~19세기)>잡숩다(19세기)>잡숫다(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잡숫다’의 옛말인 ‘잡다’는 17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잡다’는 역사적으로 19세기까지 ‘잡숩다, 잡숫다’의 변화형을 갖는다. 17세기에는 ‘잡다’의 활용형 ‘잡오니’ 등에서 ‘잡소오니’로 변화한 활용형도 나타난다. ‘잡숩다’에서 ‘잡숫다’로의 어형 변화는 ‘잡숩다’가 ‘ㅂ’ 앞에 모음 ‘ㅜ’를 가지는 바람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 ‘ㅅ’ 불규칙 활용을 보이는 어형과 거의 동일한 활용형을 갖게 되어 그 활용형으로부터 언중이 ‘잡숫다’를 역형성해 낸 것이라고 설명할 수 있다. 즉 ‘잡수우니(<-잡수우+니), 잡수우며(<-잡수우+며)’와 같은 활용형은 ‘잡수으니(<잡수+으니), 잡수으며(<잡수+으며)’와 같은 ‘ㅅ’ 불규칙 활용을 한 어형으로도 오해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비슷한 예로 중세 국어에서 ‘줏-~-’의 형태를 보이다가 ‘ㅅ’ 불규칙 용언으로 발달한 동사가 현대 국어에서 ‘ㅂ’ 불규칙 활용을 하는 ‘줍다’가 된 것도 같은 방식으로 설명할 수 있다. |
---|---|
이형태/이표기 | 잡다, 잡솝다, 잡숩다, 잡숫다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