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일컫따

- 활용
- 일컬어[일커러



- 품사/문형
- 「동사」 【…을 …으로】【…을 -고】
- 「001」이름 지어 부르다.
- 사자를 흔히 백수의 왕으로 일컫는다.
- 예로부터 우리나라를 동방예의지국이라고 일컬었다.
- 여러 두령은 전대로 두령이라고 일컫고 적은 두목들은 그저 두목이라고 일컬었다.≪홍명희, 임꺽정≫
역사 정보
일다(15세기~18세기)>일컫다(18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일컫다’의 옛말인 ‘일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이 단어는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할 때에는 ‘일-’으로, 매개모음이나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일-’로 나타나는 ㄷ 불규칙 용언이었다. 15세기에는 ‘일다’와 함께 ‘다’도 보이는데, 15세기 중엽 이후로 ‘ㆆ’이 표기에서 사라지면서 ‘일다’만 남게 되었다. 16세기 이래로 비어두음절의 ‘ㆍ’가 대체로 ‘ㅡ’로 변화하는 ‘ㆍ’의 제1단계 소실이 일어났는데, 간혹 ‘ㆍ’가 ‘ㅏ, ㅓ, ㅗ, ㅜ’로 변화하는 경우도 있었다. ‘일다’의 경우에는 제2음절의 모음 ‘ㆍ’가 ‘ㅓ’로 바뀌어 18세기에는 ‘일컫-/일컬-’ 형태가 등장하였다. 한편 16세기~19세기 문헌에는 ‘일다, 일컷다’로 표기된 예가 나타나는데, 이는 16세기 이후에 종성 위치에서 ‘ㅅ’이 ‘ㄷ’과 소리가 같아지면서 표기에 혼란이 일어난 후 근대국어 시기에는 종성의 ㄷ을 ㅅ으로 표기하는 경향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변화를 경험하였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문헌에 확인되는 것을 18세기부터 나타나기 시작하는 ‘일컷다’이다. 즉 제2음절의 ‘ㆍ’가 ‘ㅓ’로 변하여 18세기에 ‘일컷다’로 나타나게 된 것이다. 18세기에 어간말음 ‘ㄷ’이 ‘ㅅ’으로 표기되어 ‘일컷다’로 나타난 것은 음절말의 ‘ㄷ’을 ‘ㅅ’으로 표기하는 당시의 표기 경향에 의한 것이다. 18~19세기 문헌에는 ‘일컫-’의 예는 나타나지 않으나 ‘일컷-’으로 표기된 것의 실제 발음은 ‘일컫-’이었다. 한편, 18~19세기 문헌에는 ‘닐-, 닐-, 닐컷-’ 등의 예도 보이는데, 이는 근대국어 후기에 어두음절에서 모음 ‘ㅣ’ 앞의 ‘ㄴ’이 탈락하게 된 현상을 의식하여 과도 교정한 형태이다. |
---|---|
이형태/이표기 | 일-, 일-, -, -, 일-, 일컷-, 일컬-, 닐컷-, 닐-, 닐다 |
세기별 용례 |
|
관련 정보 | ‘일다’가 동사 ‘*잃-’과 ‘*-’이 결합한 비통사적 합성어라는 견해도 있다. 동사 ‘*잃-’의 예는 나타나지 않지만, ‘이름’의 옛말인 ‘일훔’을 동사 ‘*잃-’에 명사형 어미 ‘-움’이 결합한 형태로 보아 ‘*잃-’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이 견해에서는 ‘샤’, ‘오’, ‘온’ 등으로 나타나는 동사의 원형이 ‘다’가 아니라 ‘다’이며, ㄷ 불규칙 활용을 하는 것으로 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