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읻ː따

- 활용
- 이어[이어


- 품사/문형
- 「동사」 【…을 (…과)】【…을 …에】
- 「001」((‘…과’가 나타나지 않을 때는 여럿임을 뜻하는 말이 목적어로 온다)) 두 끝을 맞대어 붙이다.
- 직선은 한 점과 또 다른 한 점을 잇는 가장 짧은 선이다.
- 바느질을 할 때 파란색 실을 빨간색 실과 이어 쓰면 보기 싫으니 한 가지 색으로 통일해라.
- 이 다리는 섬을 육지와 이어 주는 역할을 합니다.
- 끊어진 실을 잇다.
- 옷가지를 이어서 밧줄처럼 만들었다.
- 짐을 꾸리기에는 끈이 짧아 짧은 끈을 이어 사용했다.
- 전화선을 여기에 이어서 사용하면 됩니다.
- 선생님이 잡고 계신 선을 이 선에 이으면 됩니다.
관련 어휘
역사 정보
닛다(15세기~19세기)>잇다(18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잇다’의 옛말 ‘닛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닛다’는 자음으로 시작하는 하는 어미 앞에서 ‘닛-’으로,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 ‘-’으로 나타났다. ‘ㅿ’이 사라지면서 16세기 후반부터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하는 어미 앞에서 ‘니-’로 나타나기 시작한다. 18세기부터는 어두의 ‘ㄴ’이 탈락한 ‘이-’가 나타나 ‘닛-~니-’와 ‘잇-~이-’는 19세기까지 공존하게 된다. 새로운 어형인 ‘잇다’가 20세기 이후 현재에 이르렀다. |
---|---|
이형태/이표기 | 닛-, -, 니-, 잇-, 이-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