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자몯

- 품사
- 「부사」
- 「001」생각보다 매우.
- 여러분에 대한 기대가 자못 큽니다.
- 마을 친척들도 명식의 경솔한 언동이 자못 불쾌한 모양이었다.≪황석영, 종노≫
- 내 친구는 자못 심각한 목소리로 나에게 물었다.
- 오랜만에 사람들 앞에 나서자니 자못 긴장이 된다.
- 어느 집 추녀의 못이 삭았는지 함석 귀가 들려 널뛰듯 덜컹거리는 소리만 자못 바람의 기세를 짐작게 했다.≪서영은, 먼 그대≫
- 먼 산의 아른한 윤곽은 자못 한 폭의 그림을 방불케 한다.≪이기영, 봄≫
- 군수도 자못 감개무량한 듯이 흥분된 기색을 띠고 있다가….≪이기영, 봄≫
- 나는 자못 궁금한 눈초리로 그녀를 쳐다보았다.≪윤후명, 별보다 멀리≫
역사 정보
(15세기~17세기)/모(15세기~17세기)>(16세기~18세기)>못(17세기~19세기)>자못(18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자못’의 옛말인 ‘모’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모’와 함께 ‘’ 형태도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6세기에는 ‘’의 음절말에 ㅅ이 첨가된 ‘’ 형태가, 17세기에는 ‘모’에 ㅅ이 첨가된 ‘못’ 형태가 등장하였다. 이처럼 부사 뒤에 ㅅ이 첨가되는 현상은 중세국어 시기 ‘, ’ 등의 예에서도 발견된다. 17세기에는 ‘못’이 나타나는데 이는 제2음절의 모음 ‘ㆍ’가 ‘ㅗ’로 변한 것이다. 16세기에 제2음절 이하의 ‘ㆍ’가 일반적으로 ‘ㅡ’로 변했으나 간혹 ‘ㅗ’로 변하기도 하였는데 ‘못’은 제2음절의 ‘ㆍ’가 ‘ㅗ’로 변한 것이다. 근대국어 후기에 제1음절에서 모음 ‘ㆍ’가 ‘ㅏ’로 변하는 경향에 따라 18세기에 ‘자못’이 등장하게 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
---|---|
이형태/이표기 | 모, , , 못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