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자

- 품사
- 「의존 명사」
- 「004」길이의 단위. 한 자는 한 치의 열 배로 약 30.3cm에 해당한다.
- 비단 넉 자를 끊다.
- 얼마나 피곤한지 눈이 한 자나 들어갔다.
- 키가 여섯 자나 된다.
- 큰 사랑엔 본디 여섯 자가 넘는 큰 돈궤가 놓여 있었으나 근래엔 보이지 않았다.≪박완서, 미망≫
- 땅이 한 치가 녹으면 한 치를 걷어 내고 반 자가 녹으면 반 자를 파내었다.≪이태준, 농군≫
- 오빠는 굽이 석 자 되는 나막신을 신고 서울 가서 소를 팔아 오기로 하고, 누이는 여기다 성을 쌓기로 한 걸세.≪송기숙, 녹두 장군≫
- 화승총으로 열아홉 자 높이의 주성을 함락하기는 썩은 새끼로 범 잡는 거나 마찬가지로 무모한 짓이었다.≪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 한 자, 두 자, 열 자, 스무 자, 서른 자로 한 필을 끝막는다. 한 필을 짜 놓고 또다시 한 필을 시작한다.≪박종화, 임진왜란≫
- 사람도 잘 다니지 않는 험난한 곳이고 열 자, 스무 자나 되는 큰 나무들이 빽빽이 들어차서 하늘이 보이질 않소.≪박경리, 토지≫
관련 어휘
- 옛말
- 잫
역사 정보
잫(15세기~18세기)>자(16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자’의 옛말인 ‘잫’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잫’은 모음이나 ‘ㄱ, ㄷ’으로 시작하는 조사가 결합할 때에는 끝소리 ‘ㅎ’이 나타나지만, 그 밖의 자음으로 시작하는 조사가 결합하거나 단독으로 쓰일 때에는 ‘ㅎ’이 탈락하는 ‘ㅎ종성체언’으로 ‘잫/자’의 이형태 교체를 보였다. 16세기에는 끝소리 ‘ㅎ’이 완전히 탈락하여 ‘ㄷ’으로 시작하는 조사 앞에서도 ‘자’가 쓰인 예가 보인다. 18세기까지도 끝소리 ‘ㅎ’을 가진 ‘잫’과 ‘자’가 함께 나타나다가 19세기 이후로 ‘자’만이 남아 오늘에 이르렀다. |
---|---|
이형태/이표기 | 잫, 자 |
세기별 용례 |
|
관련 정보 | ‘잫’은 ‘尺’의 중고 한자음 ‘ts’iäk’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
관용구·속담(1)
- 속담자에도 모자랄 적이 있고 치에도 넉넉할 적이 있다
- 경우에 따라 많아도 모자랄 때가 있고 적어도 남을 때가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