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총각 편집하기 편집 금지 요청
발음
[총ː각발음 듣기]
활용
총각만[총ː강만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1」결혼하지 않은 성년 남자.
더벅머리 총각.
두 사람은 장가를 가고 한 사람은 장가를 가지 않은 총각이었다.≪송기숙, 녹두 장군≫

관련 어휘

역사 정보

總角(15세기~18세기)>총각(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총각’의 옛말인 ‘總角’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總角’은 19세기 들어 한글로 표기되어 ‘총각’으로 나타나 현재까지 이어진다.
‘총각(總角)’은 본래 “사내아이가 머리를 땋아 묶는 일”을 가리켰다. 16세기, 17세기 문헌에 보이는 ‘總角다’를 통해서도 그 뜻을 확인할 수 있다. 현대 국어에서는 ‘총각’이 “결혼하지 않은 성년의 남자”라는 뜻으로 의미가 변화한다.
이형태/이표기 總角, 총각
세기별 용례
15세기 : ((總角))
總角애 草書 수미  神速니 ≪1481 두시-초 8:30ㄱ
16세기 : ((總角))
열 설 넘도록 오히려 總角여시리 젹으니 ≪1588 소언 5:42ㄴ
17세기 : ((總角))
孌히 總角이 丱 거슬 未幾에 보면 ≪1613 시언 5:8ㄴ
十歲 너머 總角리 져그니 ≪1632 가언 3:1ㄴ
19세기 : ((總角, 총각))
총각 總角 成童 ≪1895 국한 301
노총각 老總角 ≪1895 국한 98
총각 總角 成童 ≪1895 국한 301

관용구·속담(1)

관용구총각 딱지를 떼다
총각이 처음으로 동정을 깨뜨리다.
  • 나는 군대 휴가를 나왔을 때 총각 딱지를 뗐다.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