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집따발음 듣기]
활용
짚어[지퍼발음 듣기], 짚으니[지프니발음 듣기], 짚는[짐는발음 듣기]
품사/문형
「동사」 【…을】
「001」바닥이나 벽, 지팡이 따위에 몸을 의지하다.
지팡이를 짚은 노인.
땅을 짚고 일어나다.
휠체어를 피하고 목발을 짚는 것만으로도 그는 감사한 마음으로 고즈넉이 쾌유를 기다려야 하는 것이다.≪홍성원, 육이오≫
그는 현기증과 함께 그만 두 손으로 땅을 짚어야 했습니다.≪장용학, 원형의 전설≫
아들의 그림자를 몇 해 만에야 발견하듯 가벼이 부르짖으며 무릎을 짚고 일어선다.≪심훈, 상록수≫

관련 어휘

지역어(방언)
지프다(제주)
옛말
딮다

역사 정보

딮다(15세기~18세기)>짚(17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짚다’의 옛말 ‘딮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딮다’는 18세기까지 나타난다. 근대 시기에 ‘ㅣ’ 앞에서 ‘ㄷ’이 ‘ㅈ’으로 변화하는 구개음화 현상을 겪어 17세기부터 ‘짚다’도 나타나게 된다. ‘딮-’와 ‘짚-’는 각각 ‘딥ㅎ-’, ‘집ㅎ-’과 같은 이표기도 나타난다. 이 ‘짚다’가 현재에 이어지게 된다.
이형태/이표기 딮다, 딥ㅎ다, 집ㅎ다, 짚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딮다))
比丘ㅣ 누비 닙고 錫杖 디퍼 竹林國 디나아 沙羅樹王宮의 가 ≪1459 월석 8:92ㄱ
16세기 : ((딮다))
대렴 제 후개 미처 와 손로 디프니 눈 니라 신안니 식 업서 ≪1518 이륜-옥 43ㄱ
17세기 : ((딮다, 짚다))
막대 디퍼 가매 門闌이 깁고 술위 메유매 ≪1632 두시-중 3:21ㄱ
도랏 막대 지퍼 믌 구버셔 너 爲야 ≪1632 두시-중 9:3ㄱ
18세기 : ((딥ㅎ다, 집ㅎ다))
나흔 닷 냥 은을 가지고 馬家庄에 가 조 딥허 노코 나흔 두 냥 은을 가지고 ≪1765 박신 2:28ㄴ
버무릴 막대조차  나히 업다 리 우리 집허 온 막대 가져다가 콩 버무리라 ≪1763 노신 1:41ㄱ
19세기 : ((집ㅎ다))
쳥컨 그 스로 음을 집허 보라 엿거 이의 그 연곤 쥴 알고 가샨 ≪1852 태상 3:58ㄱ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