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외양깐


- 품사
- 「명사」
- 「001」마소를 가두어 기르는 곳.
- 외양간에는 여물을 실컷 먹고 난 암소가 되새김질을 하고 있었다.≪김원일, 불의 제전≫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마고-간(마고間)(강원), 마구-간(馬廏間)(강원, 경기, 경상, 전남, 함경), 소-마구(강원, 경상, 전남), 쇠-마고(강원), 오양(강원, 전남, 충북, 함북), 오양-간(오양間)(강원, 경기, 경북, 전라, 제주, 충청, 평안, 함경, 중국 길림성, 중국 요령성, 중국 흑룡강성), 오양-깐(강원, 경기, 전남, 충청, 평북, 함경), 쇠양-간(쇠양間)(경기, 전북, 충북), 쇠왱-간(쇠왱間)(경기), 왜앙-간(왜앙間)(경기, 평안, 중국 길림성, 중국 요령성), 왜양-간(왜양間)(경기, 경상, 전라, 평안, 중국 길림성, 중국 요령성, 중국 흑룡강성), 웨양-간(웨양間)(경기, 제주), 두움-밧(경남), 두움-밭(경남), 마구-문(馬廏門)(경남), 소-마구간(소馬廏間)(경남, 전라), 소-집(경남), 솟-간(솟間)(경남), 에영-곤(경남), 온냥-간(온냥間)(경남), 헤양-간(헤양間)(경남), 마-답(馬답)(경북), 이양-간(경북), 히양-간(히양間)(경북), 가구-간(가구間)(경상, 중국 흑룡강성), 세-마구(경상), 에양-간(에양間)(경상, 전남), 마구-창(馬廏창)(전남), 마구-청(전남), 소-마구창(소馬廏창)(전남), 소양-간(소양間)(전남), 예양-간(예양間)(전남), 오양-정지(전남), 외양-청(전남), 쇠-마구청(쇠馬廏廳)(전라), 욋-간(욋間)(전라), 소-오양간(전북), 쇠-집(전북), 외앙(전북), 외앙-간(외앙間)(전북), 쇠-막(쇠幕)(제주), 쇠-왕(제주), 쇠막-사리(제주), 쉐-마귀(제주), 쉐-막(쉐幕)(제주), 쉐-막사리(제주), 쉐-왕(제주), 쉐-집(제주), 우마-집(牛馬집)(제주), 소모양-간(충남), 소왕-간(소왕間)(평남), 소욍-간(소욍間)(평남), 앵-간(앵間)(평남), 엥-간(엥間)(평남), 텅-간(평북), 소-텅간(평안), 소텅-깐(평안), 왱-간(평안), 욍-간(욍間)(평안, 황해), 마귀(함경), 오양-칸(함경, 중국 길림성, 중국 흑룡강성), 매귓-간(매귓間)(함남), 마우릿-간(마우릿間)(함북), 모시-칸(함북), 모시깐(함북), 모싯-간(모싯間)(함북), 오냥-간(오냥間)(함북, 중국 길림성), 청-간(청間)(황해)
- 옛말
- 오
역사 정보
오(15세기~16세기)>외양(17세기~18세기)>외양(19세기)>외양간(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외양간’의 옛말인 ‘오’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오’의 제3음절 받침 ‘ㆁ’은 [ŋ]을 나타내던 것이었는데 ‘ㆁ‘을 ’ㅇ‘이 대신함에 따라 16세기 문헌에서부터 ’오양‘이 보인다. 16세기 후반에 제2음절 이하의 ‘ㆍ’는 ‘ㅡ’로 변하였는데 ‘오양’도 이 변화를 겪어 ‘오희양’이 된다. 17세기 문헌부터 ‘외양’이 나타나는데 이는 ‘오희양’에서 모음 사이의 ‘ㅎ’이 탈락되고 음절이 축소되면서 나타난 어형으로 보인다. 19세기 이전에는 ‘외양’만으로 “외양간”의 의미를 나타내었는데 19세기 문헌에서는 ‘외양’에 한자어 ‘간’(間)이 결합된 ‘외양’이 확인된다. ‘외양’은 ‘간’(間)의 한자음을 밝혀 적은 ‘외양간’으로 바뀌어 이것이 현재까지 이어진다. |
---|---|
이형태/이표기 | 오, 오양, 오희양, 외양, 외향, 오양, 오향, 외양 |
세기별 용례 |
|
다중 매체 정보(1)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