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외양발음 듣기/웨양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1」마소를 가두어 기르는 곳.
세 해를 풍찬노숙, 어느 때는 여염의 굴뚝에 의지해 추위를 피하고 어느 때는 외양에서 마소와 짚 검불을 다투었도다.≪이문열, 황제를 위하여≫

관련 어휘

비슷한말
곡뢰(牿牢), 외양-간(외양間)
지역어(방언)
위양(전북)

역사 정보

오(15세기~16세기)>오양(16세기~17세기)>오양(16세기)>외양(17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외양’의 옛말인 ‘오’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6세기에 ‘오’의 제3음절의 끝소리 ‘ㆁ’이 ‘ㅇ’으로 표기면서 ‘오양’이 되었다. 같은 시기 ‘오양’은 ‘오희양, 오양’으로도 나타난다. ‘오희양’은 16세기에 제2음절 이하에서 ‘ㆍ’가 ‘ㅡ’로 변함에 따라 제2음절의 이중모음 ‘ㆎ’도 ‘ㅢ’로 변한 것이다. 16세기에 나타나는 ‘오양’은 모음과 모음 사이에서 ‘ㅎ’이 약화되고 제2음절과 제3음절이 축약된 것이다. 17세기에 현대 국어와 같은 ‘외양’이 처음 보이는데 이는 ‘오양’에서 제2음절의 반모음 ‘ㅣ’의 영향으로 제1음절에 반모음 ‘ㅣ’가 첨가된 것이다. 17세기까지 ‘오양’ 등이 ‘외양’과 공존하다가 18세기에 와서 ‘외양’만 남게 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이형태/이표기 오양, 오희양, 오양, 오, 외양, 외향, 오향
세기별 용례
15세기 : (오)
侍衛 臣下ㅣ 儀仗애 드로 일오 오앳 리 神仙 외요 아더라 ≪1481 두시-초 20:16ㄴ
16세기 : (오, 오양, 오희양, 오양)
오의 됴 리 업스며 옷 약내 내디 아니며 ≪1518 번소 10:13ㄴ
세 번 큰 번딘을 호 오양의 됴 이 업스며 오새 香 품기디 아니고 ≪1588 소언 6:112ㄴ
 방문네  오희양의 황칠리어나 두  무근 삽둇 불휘어나 ≪1541 우마 10ㄱ
  방문네 병긔운  잇거 븕나모 버혀다가 오양의 려 두라 ≪1541 우마 3ㄴ
17세기 : (오양, 외양, 외향, 오향)
侍衛 臣下ㅣ 儀仗애 드로 알오 오양앳 리 神仙 외요 아더라 ≪1632 두시-중 20:16ㄴ
나 드르희 노흐며 밤의 외양의 노하 제대로 누으며 닐게 며 ≪17세기 마경 하:70ㄴ
낫 드로 노하  며 밤이어든 외향의 노하 플을 고 뉘이고 ≪17세기 마경 상:81ㄱ
馬房  오향1690 역해 상:19ㄴ
18세기 : (외양)
외양 구 廐 ≪1781 왜해 상:32ㄱ
19세기 : (외양)
외양 喂養 ≪1880 한불 50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