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외양


- 품사
- 「명사」
- 「001」마소를 가두어 기르는 곳.
- 세 해를 풍찬노숙, 어느 때는 여염의 굴뚝에 의지해 추위를 피하고 어느 때는 외양에서 마소와 짚 검불을 다투었도다.≪이문열, 황제를 위하여≫
역사 정보
오(15세기~16세기)>오양(16세기~17세기)>오양(16세기)>외양(17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외양’의 옛말인 ‘오’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6세기에 ‘오’의 제3음절의 끝소리 ‘ㆁ’이 ‘ㅇ’으로 표기면서 ‘오양’이 되었다. 같은 시기 ‘오양’은 ‘오희양, 오양’으로도 나타난다. ‘오희양’은 16세기에 제2음절 이하에서 ‘ㆍ’가 ‘ㅡ’로 변함에 따라 제2음절의 이중모음 ‘ㆎ’도 ‘ㅢ’로 변한 것이다. 16세기에 나타나는 ‘오양’은 모음과 모음 사이에서 ‘ㅎ’이 약화되고 제2음절과 제3음절이 축약된 것이다. 17세기에 현대 국어와 같은 ‘외양’이 처음 보이는데 이는 ‘오양’에서 제2음절의 반모음 ‘ㅣ’의 영향으로 제1음절에 반모음 ‘ㅣ’가 첨가된 것이다. 17세기까지 ‘오양’ 등이 ‘외양’과 공존하다가 18세기에 와서 ‘외양’만 남게 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
---|---|
이형태/이표기 | 오양, 오희양, 오양, 오, 외양, 외향, 오향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