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지르다발음 듣기]
활용
질러[질러발음 듣기], 지르니[지르니발음 듣기]
품사/문형
「동사」 【…을】
「001」지름길로 가깝게 가다.
이 길로 들판을 질러 지름길로 가면 훨씬 빠를 것이다.

관련 어휘

지역어(방언)
지리다(경북)
옛말
즐그다, 즈르다

역사 정보

즈르다(15세기~18세기)>지르다(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지르다’의 옛말 ‘즈르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즈르다’는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 ‘즈르-’로,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 ‘즐ㅇ-’으로 나타났다. 17세기까지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 ‘즐어’와 같이 나타나다가 표기상 연철된 ‘즈러’가 17세기부터 18세기까지 나타난다. ‘즈르-’는 19세기 이후 ‘ㅈ’아래의 ‘ㅡ’가 ‘ㅣ’로 변화하는 전설 고모음화 현상에 의해 ‘지르-’로 나타나 현재까지 이어진다.
이형태/이표기 즐ㅇ-, 즐-
세기별 용례
15세기 : ((즐ㅇ-))
아리 즐어 업스니 ≪1459 월석 1:月釋序14ㄴ
16세기 : ((즐ㅇ-))
어딜에 외 쇽이 디 몯고 사미 즐어 주그리 만니라 ≪1518 번소 7:31ㄱ
17세기 : ((즐ㅇ-, 즐-))
顔淵ㅣ 매 즐어 죽고 賈誼 갓 忠貞ㅣ 잇도다 ≪1632 두시-중 24:22ㄴ
겨지비 오 잡고 울거  도라보디 아니코 즈러 어믜 지브로 라가 업고 도망여 수머 ≪1617 동신속 효1:55ㄴ≫
18세기 : ((즐-))
도로혀 깃목숨을 즈러 죽게  이니라 ≪1776 염보-해 39ㄱ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