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줍ː따]
활용
주워[주워], 주우니[주우니], 줍는[줌ː는]
품사/문형
「동사」 【…을】
「001」바닥에 떨어지거나 흩어져 있는 것을 집다.
쓰레기를 줍다.
이삭을 줍다.
나뭇가지를 주워다가 모닥불을 피웠다.
작자는 지섭이 또 기왓장이나 주우러 나가지 않을까 싶어 새벽같이 집을 찾아왔다고 했지만….≪이청준, 춤추는 사제≫
재수가 좋으면 농어도 주울 수 있고, 숭어도 주울 수 있고, 가자미나 도다리나 가조기도 주울 수 있었다.≪한승원, 해일≫

역사 정보

줏다(15세기~19세기)>줍다(18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줍다’의 옛말 ‘줏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줏다’는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줏-’,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으로 교체하였다. 16세기까지는 ‘줏다’의 활용형이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 ‘주, 주면’과 같이 나타났으나 ‘ㅿ’이 탈락한 이후에는 ‘주어, 주으면’으로 나타나게 되었다. 18세기부터는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 ‘줍-’이라는 어형이 나타나게 되는데 이러한 어형이 나올 수 있었던 것은 16세기 이후의 ‘주어, 주으면’과 같은 ‘줏-’의 ‘ㅅ’ 불규칙 활용형이 ‘줍다’의 ‘ㅂ’ 불규칙 활용형인 것으로 오인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즉 ‘주어, 주으면’과 같은 활용형에서 언중들은 ‘줍다’와 같은 기본형을 상정하기도 하였던 것이다. 한편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의 ‘줏-’은 19세기까지도 계속 나타나 18세기부터는 ‘줍다’와 공존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상대적으로 후대에 나타나 자리 잡게 된 ‘줍다’는 현재까지 이어진다.
이형태/이표기 줏-, -, 줍-, 주우-
세기별 용례
15세기 : ((줏-))
涅槃 주미라 일훔면 거두며 줏 예   디 아니며 ≪1461 능엄 1:19ㄱ
16세기 : ((주-))
주을 텰 拾 주을 습 ≪1576 신합 하:46ㄴ
17세기 : ((줏-))
오이려 알 줏니 다 자보 義예 엇더리오 ≪1632 두시-중 17:39ㄴ
18세기 : ((줍-))
拾起 줍다1775 역보 26ㄱ
19세기 : ((줏-, 줍-, 주우-))
주섬주섬 줏다 箇箇盡拾 ≪1895 국한 270
궤의 구을 모흐시 며  곡식을 줍시 며 골을 거두어 뭇시 며 ≪1882 경석 3ㄱ
뎌 하날노 말무암아  주워 먹엇다 거날 ≪1887 성전 요한복음 6:3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