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예발음 듣기]
품사
「대명사」
「003」여기’의 준말.
예가 어디냐?
동사무소는 예서 멀다.
예가 어딘 줄 알고 주둥아리를 함부로 놀리는 거냐?≪염상섭, 삼대≫

관련 어휘

본말
여기
참고 어휘

역사 정보

이(15세기)>이에(15세기~19세기)>예(15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예’의 옛말인 ‘이’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5세기에 제2음절의 첫소리 ‘ㆁ’이 탈락하여 ‘이에’가 된 이후 제1음절과 제2음절이 축약되어 ‘예’가 되었다. 15세기에는 ‘이, 이에, 예’가 공존하다가 ‘이’가 사라진 후 16세기부터는 ‘이에’와 ‘예’가 공존하였다. 20세기 이후 ‘예’로 정착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이형태/이표기 이, 이에, 예
세기별 용례
15세기 : (이, 이에, 예)
文殊師利여 내 이 이셔 보며 드루미 이러며 ≪1447 석상 13:18ㄴ
病은 세 性을 니시니 여러 劫에 이에 잇니라 ≪1464 영가 상:96ㄱ
이 經 디 사미 비록 이셔도  하 우흿 諸天香 마타 ≪1447 석상 19:18ㄱ
16세기 : (이에, 예)
갓 君子 小人이 이에 와 갈아 날 이 아니라 ≪1518 번소 8:14ㄴ
小人히 와 해자고 널이과다 ≪1510년대 번노 상:43ㄱㄴ
17세기 : (이에)
伊川이 이에 審찰티 아녀 이에 니로 ≪1632 가언 1:8ㄴ
내 결에 다 죽고 내 홀로 이시니 ≪1617 동신속 열7:26ㄴ≫
18세기 : (이에, 예)
말이 이에 미매 내 이 강개디라 ≪1864 어조 28ㄱ
倉에 가  더 내기 기려 다시 와 을 고  두 되 을 주어 ≪1765 박신 1:12ㄴ
19세기 : (이에)
말이 이에 밋 엇지 송구믈 니긔리오 ≪1883 이언 1:36ㄴ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