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여기발음 듣기]
품사
「대명사」
「001」말하는 이에게 가까운 곳을 가리키는 지시 대명사.
여기가 바로 내 고향이다.
여기보다 아름다운 곳은 찾기 어려울 것이다.
여기에 텐트를 치면 좋겠다.
여기에서 마을 입구까지는 상당한 거리다.
자, 여기 그 사람 사진이 있다.
여기 앉아 이야기 좀 하자.
사실 잘못한 건 당신이 아니고 여기 있는 바로 나요.
이렇게 우릴 내버리고 떠나가면 우린 여기 남아서 어떻게 살라는 이야기요?≪홍성원, 육이오≫
여기로 온 것은 역시 잘한 일이라고 그녀는 생각했다.≪이동하, 도시의 늪≫
여기 잡혀 와 있는 걸 너무 억울하게 생각할 것은 없어. 모든 게 다 당신하기 나름이야.≪양귀자, 나는 소망한다, 내게 금지된 것을≫
우리가 오늘 여기까지 나오게 된 건 작업장에다 모래를 실어 나르기 위해서요.≪박영한, 머나먼 송바강≫
여기는 부산이 가까운 데라 일인들이 전라도 지방보다 먼저 뿌리를 내렸다.≪송기숙, 녹두 장군≫
내가 이렇게 해서 여기를 탈출할 수 있다면 그것은 낙숫물이 바위를 뚫는다 하는 속담의 덕분이다.≪장용학, 원형의 전설≫
네 분들의 대화 장소로도 제 화실이 여기보다는 월등 낫지 않을까 합니다.≪이영치, 흐린 날 광야에서≫

역사 정보

이긔(15세기)>이어긔(16세기~17세기)>여긔(16세기~19세기)>여기(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여기’의 옛말인 ‘이긔’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6세기에 ‘ㆁ’이 음절 첫소리에 나타나지 못하게 되어 탙락하면서 ‘이어긔’가 되었다. 같은 시기 제1음절과 제2음절이 축약되어 ‘여긔’가 된 후 19세기에 이중모음 ‘ㅢ’가 ‘ㅣ’로 바뀌어 현대 국어의 ‘여기’가 되었다.
15세기의 ‘이긔’는 지시관형사 ‘이’와 장소를 뜻하는 ‘*’, 처격조사 ‘의’가 결합한 합성어로 추정하기도 하고, 지시대명사 ‘’과 처격조사 ‘어긔’가 결합한 것으로 보기도 한다.
이형태/이표기 이긔, 이어긔, 여긔
세기별 용례
15세기 : (이긔)
塗香 이 經 디닐 싸미 이긔 이셔도 다 能히 며 ≪1447 석상 19:17ㄴ
16세기 : (이어긔, 여긔)
화살 자보 펴 구디  후에 마춀 이 닐올 디니 이어긔 德덕行을 보암직 니라 ≪1518 번소 4:21ㄴ
우리 밥 머기 차든 여긔 둘흘 머믈워 짐 보게 고 ≪1510년대 번노 상:56ㄴ-57ㄱ
17세기 : (이어긔, 여긔)
사호 어느 말로 定리오 슬후미 이어긔 잇지 아니니라 ≪1632 두시-중 7:14ㄱ
내 지아비 여긔 이시니 내 마 너 조랴 대 ≪1617 동신속 열6:9ㄴ≫
18세기 : (여긔)
이러면 네 可히 能히 뎌를 請여 여긔 올 ≪1765 박신 3:41ㄴ
19세기 : (여긔)
소견이 셔로 믈 인야 여긔 븟쳐 긔록야 ≪1883 이언 4:22ㄱ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