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여럳발음 듣기]
활용
여럿만[여런만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1」많은 수의 사람이나 물건.
제자를 여럿 두다.
혼자서는 힘든 일도 이렇게 여럿이 하니까 금방이다.
사람을, 이 사람 저 사람 너무 여럿을 오게 해서 선생님 퍽 거북하셨을 줄 압니다.≪채만식, 민족의 죄인≫

역사 정보

여렇(15세기~19세기)>여럿(18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여럿’의 옛말인 ‘여렇’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여렇’은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나 조사 ‘-과, -도, -곰’ 등과 결합할 때에는 끝소리인 ㅎ이 나타나지만 그 밖의 조사와 결합하거나 단독으로 쓰일 때에는 끝소리 ㅎ이 나타나지 않는 ‘ㅎ 종성 체언’이었는데, 문헌상으로 후자의 경우는 확인되지 않는다. ㅎ 종성 체언은 대개 끝소리 ㅎ이 탈락하는 형태로 변화하였으나 일부는 ㅎ이 ㅅ으로 바뀌었는데, ‘셓>셋, 넿>넷, 여렇>여럿’ 등이 그 예이다. 18세기에 어간말 자음 ㅎ이 ㅅ으로 바뀐 ‘여럿’ 형태가 등장하여 오늘날에 이르렀다.
이형태/이표기 여렇, 여러, 여럿
세기별 용례
15세기 : (여렇)
여러히 다 道 窮究호 들 일허 드위힐훠 妄히 혜니 ≪1461 능엄 10:23ㄱ
여러흘 다 量애 너믄 이  드러 니샤 ≪1463 법화 5:203ㄱ
16세기 : (여렇)
뎜쥬하 젼 사 여러흘 려오라 ≪1510년대 번노 하:56ㄴ
우리 형뎨 다티 사란 디 여나 니 여러히 셰간 배오 이시니 ≪1518 이륜-옥 25ㄱ
18세기 : (여렇, 여러)
衆共分 여러히 호다 ≪1748 동해 하:27ㄱ
네 主人의게 삿과 집方席 여러흘 가져 오라 라 ≪1790 몽노 4:18ㄱ
슬프다 奉孝여 어엿브다 奉孝여 앗갑다 奉孝여  제 여러이 다 더라 ≪1774 삼역 9:17ㄱ
여럿 혀 등 ≪1779 한청문감 10:48ㄴ≫
19세기 : (여렇, 여럿)
다만 나히 엇지 여러흘 이긔리오 ≪1892 성직 24ㄴ
계교을 지어 나라을 속이고 음을 일희혀 여러슬 며 ≪1880 삼성 24ㄱ
여러 여럿 衆 ≪1880 한불 30

관용구·속담(2)

속담여럿의 말이 쇠도 녹인다
여러 사람이 함께 모여 의견을 합치면 쇠도 녹일 만큼 무서운 힘을 낼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여럿이 가는 데 섞이면 병든 다리도 끌려 간다
여러 사람이 권하면 어쩔 수 없이 따라 행하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