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어저께발음 듣기]
품사
「부사」
「002」오늘의 바로 하루 전에.
어저께 해 놓은 밥이 하루 만에 쉬어 버렸다.
수업에 필요한 준비물은 어저께 다 마련해 두었다.
오늘은 그와 어저께 본 영화에 대해 얘기를 나누었다.
어저께 어머니께서 다녀가셨죠.≪염상섭, 취우≫
어저께 새벽에 잠이 깨서 선생님의 주무시는 모습을 처음 봤을 때예요.≪조해일, 왕십리≫
어저께 그 애가 직접 그랬어. 다른 사람들에게 소문내지만 않으면 새끼들도 보여 줄 수 있다는 거야.≪오정희, 적료≫

역사 정보

어저/어젓긔(15세기~17세기)>어져(19세기)>어저께(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어저께’의 옛말인 ‘어저’, ‘어젓긔’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어저’, ‘어젓긔’는 ‘어적’에 “때”를 의미하는 ‘’가 결합된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어젓긔’는 ‘’의 ‘ㅅ’을 앞 음절에 내려 적은 표기이기 때문에 ‘어저’와 ‘어젓긔’는 똑같이 분석된다. ‘ㅺ’은 근대 국어 시기에 된소리 ‘ㄲ’으로 바뀌는데 20세기에 ‘어저께’로 나타나 현재에 이른다.
이형태/이표기 어저, 어젓긔, 어져, 어적긔
세기별 용례
15세기 : ((어저, 어젓긔))
어저 다가짓 믈 우니 ≪1459 월석 1:17ㄱ
어젓긔  비 시름호매 다랫더니 오져  ≪1481 두시-초 7:20ㄴ
17세기 : ((어젓긔))
어젓긔 비 시름호매 ≪1632 두시-중 7:20ㄴ
19세기 : ((어져, 어적긔))
어져 어적긔 昨日 ≪1880 한불 25
어져 어적긔 昨日 ≪1880 한불 25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