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얼레빋

- 활용
- 얼레빗만[얼레빈만

- 품사
- 「명사」
- 「001」빗살이 굵고 성긴 큰 빗.
- 어머니는 머리를 빗을 때는 항상 얼레빗으로 빗고 그다음에 참빗질을 했다.
관련 어휘
- 비슷한말
- 월소(月梳)
- 지역어(방언)
- 얼개(강원), 얼개미-빗(강원, 경기, 경북), 올게-빗(강원), 어렘-빗(경기, 경북, 충남), 얼게-빗(경기, 경상, 전남, 충남, 평안), 어래(경남), 어레(경남), 얼겡이-빗(경남), 얼기(경남), 얼기미(경남), 얼기미-빗(경남, 전남, 충남), 얼기비(경남), 으리-빗(경남), 을기-빛(경남), 을기-빝(경남), 어리-빗(경북, 전라, 충남), 얼건-빗(경북), 얼겜-빗(경북), 얼구-빗(경북), 얼근-빗(경북, 충북), 얼김-빗(경북), 얼리-빗(경북, 충남, 중국 흑룡강성), 얼점-빗(경북), 기미(경상), 엘기미-빗(경상), 애리-빗(전남), 어게-빗(전남), 어르-빗(전남), 얼기-빛(전남), 얼기미-빛(전남), 에리-빗(전남), 월기-빗(전남), 얼게미-빗(전라), 얼거-빗(전북), 얼그-빗(전북), 얼럭지(제주), 얼레기(제주), 어레-빗(충남), 어레미-빗(충남), 어름-빗(충남), 어림-빗(충남), 얼름-빗(충남), 얼린-빗(충남), 얼림-빗(충남), 엉근-빗(충남), 을레-빗(충남), 얼깃(평안), 얼게(함경), 얼기-빗(함북), 얼-빗(황해), 얼걋(황해), 얼겻(황해)
- 옛말
- 얼에-빗
역사 정보
얼에빗(15세기~18세기)>얼레빗(18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얼레빗’의 옛말인 ‘얼에빗’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ㄹ’ 뒤에 오는 유성후두마찰음 ‘ㅇ’[ɦ]이 탈락하고 ‘ㄹ’이 첨가되어 18세기에 ‘얼레빗’으로 나타나기 시작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근대국어 시기에 나타나는 ‘어레빗’은 유성후두마찰음 ‘ㅇ’[ɦ]이 탈락한 후 제1음절의 끝소리 ‘ㄹ’이 연철되어 표기된 것이다. |
---|---|
이형태/이표기 | 얼에빗, 어레빗, 얼레빗, 어빗 |
세기별 용례 |
|
다중 매체 정보(1)
관용구·속담(1)
- 속담얼레빗 참빗 품고 가도 제 복이 있으면 잘산다
- 친정이 가난하여 입은 옷과 머리빗밖에는 가지고 간 것이 없지만 잘살려면 얼마든지 행복하게 잘산다는 뜻으로, 예장(禮裝)을 많이 하여야 잘사는 것은 아니라는 말. <동의 속담>‘이고 지고 가도 제 복 없으면 못산다’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