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얼레빋발음 듣기]
활용
얼레빗만[얼레빈만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1」빗살이 굵고 성긴 큰 빗.
어머니는 머리를 빗을 때는 항상 얼레빗으로 빗고 그다음에 참빗질을 했다.

역사 정보

얼에빗(15세기~18세기)>얼레빗(18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얼레빗’의 옛말인 ‘얼에빗’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ㄹ’ 뒤에 오는 유성후두마찰음 ‘ㅇ’[ɦ]이 탈락하고 ‘ㄹ’이 첨가되어 18세기에 ‘얼레빗’으로 나타나기 시작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근대국어 시기에 나타나는 ‘어레빗’은 유성후두마찰음 ‘ㅇ’[ɦ]이 탈락한 후 제1음절의 끝소리 ‘ㄹ’이 연철되어 표기된 것이다.
이형태/이표기 얼에빗, 어레빗, 얼레빗, 어빗
세기별 용례
15세기 : (얼에빗)
오란 얼에빗 져그니  나 라  외어든 ≪1489 구간 2:50ㄴ
16세기 : (얼에빗)
대쵸나모 얼에빗 일 낫 목 얼에빗 일 낫 ≪1510년대 번노 하:67ㄱ-69ㄴ
17세기 : (얼에빗, 어레빗)
梳子 얼에빗1690 역해 하:19ㄱ
대쵸나모 어레빗 일 낫 황양묵 어레빗 일 낫 ≪1670 노언 하:61ㄴ
18세기 : (얼에빗, 어레빗, 얼레빗, 어빗)
대쵸나모 얼에빗 黃楊木 얼에빗1765 청노 8:18ㄱ
梳子 어레빗1778 방유 술부방언:8ㄴ
대쵸나모 얼레빗 黃楊木 얼레빗 各各 一百 ≪1790 몽노 8:17ㄱ
稀梳 어빗1790 몽해 상:42ㄱ
19세기 : (얼레빗)
얼레빗 梳子 ≪1810 몽유 상:10ㄱ

다중 매체 정보(1)

  • 얼레빗

    얼레빗

관용구·속담(1)

속담얼레빗 참빗 품고 가도 제 복이 있으면 잘산다
친정이 가난하여 입은 옷과 머리빗밖에는 가지고 간 것이 없지만 잘살려면 얼마든지 행복하게 잘산다는 뜻으로, 예장(禮裝)을 많이 하여야 잘사는 것은 아니라는 말. <동의 속담>‘이고 지고 가도 제 복 없으면 못산다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