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드물다발음 듣기]
활용
드물어[드무러발음 듣기], 드무니[드무니], 드무오[드무오]
품사
「형용사」
「001」어떤 일이 일어나는 일이 잦지 아니하다.
인적이 드물다.
그곳은 하도 외져서 드나드는 차편도 드물다.
그는 일찍 귀가하는 적이 드물다.
딸이 요즘은 살기 바빠서 그런지 친정 나들이가 드물다.
아파트 경비 일을 하시는 아버지와 같이 식사를 할 수 있는 때가 드물다.
평소에는 읍내 나들이도 드문 편이었는데 도청이 있는 대전이며 서울까지도 오르내리는 눈치였다.≪김성동, 잔월≫
겨우내 눈비 내리는 날이 드물어 가물더니 입춘이 지나도 여전히 해갈될 기미가 보이지 않았다.≪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차의 통행은 드물었지만 이따금 군용차나 화물차 같은 것이 무서운 속력으로 달려가곤 하였다.≪최인호, 지구인≫
그날 밤은 드물게 눈이 내리고 있었다.≪박경리, 토지≫

역사 정보

드믈다(15세기~19세기)>드물다(17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드물다’의 옛말인 ‘드믈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5세기의 ‘드믈-’은 ‘ㄴ, ㄷ, ㅅ’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드므-’로, 그 외의 어미 앞에서는 ‘드믈-’로 나타났다. 근대 국어 시기에 ‘ㅁ’ 뒤에서 모음 ‘ㅡ’가 ‘ㅜ’로 원순 모음화 됨에 따라 17세기 이후 ‘드물-’로 나타나서 현재에 이르렀다. 16세기의 ‘듬을-’은 ‘드믈-’을 분철 표기 한 것이다.
이형태/이표기 드믈-, 드므-, 듬을다, 드물-, 드무-
세기별 용례
15세기 : (드믈-/드므-)
希 드믈 씨오 有는 이실 씨니 ≪1447 석상 13:15ㄱ
末世옛 첫 機 能히 다 알리 드므도다1461 능엄 1:3ㄱ
16세기 : (드믈-/드므-, 듬을다)
닐오 애 닐흔 사로미 녜브터 드므다 니 ≪1510년대 번박 상:76ㄱ
내 見홈이  드믈고 내 退커든 寒 者ㅣ 至니 ≪1590 맹언 11:21ㄴ-22ㄱ
諸候로브터 出면 十世예 失티 아니리 듬을고 ≪1590 논언 4:20ㄴ≫
17세기 : (드믈-/드므-, 드무다, 듬을다)
모딘 거슬 즈츼여 누면 역글 드믈게 니라 ≪1608 언두 상:7ㄴ
드믄 거 스러디고 거머딘 거 즉시 닐고 ≪17세기 두경 3ㄴ
노새 람 마면 살 리 반시 드무니라17세기 마경 하:122ㄴ
바다 밀믈을 듬을게 니  무더 ≪1685 염소 8ㄱ
18세기 : (드믈-/드므-, 드무다)
夫人의 賢德이 世間의 드므다1721 오륜전비 6:7ㄱ
諸侯로브터 나면 十世예 일티 아니리 드믈고1749 논율 4:22ㄱ
몸소 訓書 지어 경계 드리우 쟈 드무니1737 어내 발:4ㄴ
19세기 : (드믈-/드므-, 드물-/드무-)
공의 나라의 츙셩고 셩의게 은혜오미 쳔고의 드믄 라 ≪1852 태상 1:35ㄱ
은춍과 리욕을 각 원대 모략이 드믈고1883 이언 서:1ㄴ
에 이 긔이을 밋 이 드무다 시니 ≪1892 성직 9:1ㄴ
그 고로옴은 잠간이오 얍고 드물고 그 고로옴의 갑흠은 길고 즁고 만흐니라 ≪1892 성직 9:121ㄱ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