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애ː끈타

- 활용
- 애끊어[애ː끄너



- 품사
- 「동사」
- 「001」몹시 슬퍼서 창자가 끊어질 듯하다.
- 애끊는 사모의 정.
- 애끊는 통곡.
- 선소리 잘하기로 이 근동에서 이름난 광언의 소리는 구성지면서도 애끊는 가락으로 흘렀다.≪한승원, 해일≫
- 마음속에 끝없이 백제를 그리워하면서, 후백제를 앙원하고, 후백제 섬멸한 고려의 마지막 충신을 애끊게 기리면서….≪최명희, 혼불≫
관련 어휘
- 옛말
- 애-긋다
역사 정보
애긏다(15세기~17세기)>애끊다(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애끊다’의 옛말 ‘애긏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애긏다’는 명사 ‘애’와 동사 ‘긏-’의 합성어로 17세기 문헌에까지 나타난다. 이후 ‘긏다’ 대신 ‘끊다’가 자리를 대신하면서 현재의 ‘애끊다’에 이르게 된다. |
---|---|
이형태/이표기 | 애긏다, 애긋다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