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아울러발음 듣기]
품사
「부사」
「001」동시에 함께.
지혜와 용기를 아울러 갖추다.
이 또한 웅장한 절규이었습니다. 아울러, 위대한 선언이었고요.≪채만식, 태평천하≫
어떤 절도 사건의 내용을 쓰고, 아울러 그 절도 사건을 취급한 경찰의 태도를 쓴 겁니다.≪이병주, 행복어 사전≫
그는 날이 지나가는 데 따라 자신이 고아나 다름이 없는 사실과 아울러 부친의 죽음의 뜻을 알기 시작했다.≪박경리, 토지≫
태영은 진작에 그렇게 나올 일이지 하는 마음과 아울러 이때까지의 태도가 경솔했다는 뉘우침을 가졌다.≪이병주, 지리산≫
이름 모를 가을꽃들은 사이사이 피어서 서늘한 기운과 꽃다운 얼굴이 사람으로 하여금 흥취와 회포를 아울러 자아내게 되었다.≪한용운, 흑풍≫
모두들 후련해 하는 표정이었다. 아울러 새로 현장에서 새 일을 하게 된 기대가 적잖게 들어찬 발걸음들이었다.≪이문구, 장한몽≫
나는 나를 충동질하는 형우의 눈에서 자기도 미지에 당해야 하는 두려움과 아울러 내게 대한 선망이 깔려 있음을 놓치지 않았다.≪전상국, 우상의 눈물≫
남상이가 슬쩍 본론으로 들어가면서 아울러 덕환이가 처음 한 말까지 가볍게 일축했다.≪박완서, 오만과 몽상≫
그는 날이 지나가는 데 따라 자신이 고아나 다름이 없는 사실과 아울러 부친의 죽음의 뜻을 알기 시작했다.≪박경리, 토지≫
인민을 위한다는 것은 그 생존권을 위한다는 말이고 아울러 그 자유권을 위한다는 뜻이다.≪이병주, 지리산≫
그리고 그 임자의 뜻을 유신에게 전하고, 아울러 백제의 국내 사정도 낱낱이 다시 고해 알렸다.≪이청준, 춤추는 사제≫
매점매석을 할 경우 필경 납품 경쟁자가 없어지니 수의 계약이라는 이점이 뒤따르고 아울러 값도 자연 좋아지기 마련이었다.≪이문구, 으악새 우는 사연≫
희준이는 표면으로는 아무렇지 않게 심상히 대답했으나 마음속으로는 궁금한 생각과 아울러 여전히 야릇한 감정이 종시 사라지지 않았다.≪이기영, 고향≫

관련 어휘

역사 정보

아오로(15세기~19세기)>아올나(18세기~19세기)>아올라(19세기)>아울러(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아울러’의 옛말인 ‘아오로’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아오로’는 동사 어간 ‘아올-’에 부사를 만드는 접미사 ‘-오’가 결합된 것이다. 18세기, 19세기에 보이는 ‘아올나’는 ‘아올-’에 어미 ‘-아’가 결합된 활용형이다. ‘아올나’는 유음화에 의해 ‘아올라’로 변한다. 이 ‘아올나, 아올라’ 등은 ‘아올다’에서 형성된 것인데 ‘아올다’가 ‘아우르다’가 되면서 ‘아울러’가 나타난다.
이형태/이표기 아오로, 아올오, 아올나, 아올너, 아올라
세기별 용례
15세기 : ((아오로))
 너와 比丘僧과 諸菩薩 아오로 보논 디니라 ≪1463 법화 2:157ㄴ
16세기 : ((아오로))
字  밧긔 註엣 말을 아오로 드려 ≪1588 소언 범:1ㄱ
17세기 : ((아오로))
믈을 슈巾과 빗 아오로 굳의 리고 무라 ≪1632 가언 5:13ㄱ
18세기 : ((아오로, 아올오, 아올나))
네대로 칼흘 잡으며 아오로 막대 弄여도 ≪1721 오륜전비 8:18ㄴ
착 일을 아올오 면 ≪1796 경신 23ㄴ
특별이 아올나 졍감야 ≪1785 유제주윤음 4ㄴ
19세기 : ((아오로, 아올나, 아올너, 아올라))
비록 하에 올나가 계시나 아오로 셰샹에 계셔 ≪1882 성절 33ㄱ
분별이 잇니 아올나 의론기가 어려오니라 ≪1895 진리 56ㄱ
아블지 아올너 종지을 젼고 ≪1895 진리 71ㄱ
나라희 난이 아올라 니러나리라 ≪1892 성직 9:118ㄴ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