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썰ː다

- 활용
- 썰어[써ː러



- 품사/문형
- 「동사」 【…을】
- 「001」어떤 물체에 칼이나 톱을 대고 아래로 누르면서 날을 앞뒤로 움직여서 잘라 내거나 토막이 나게 하다.
- 가래떡을 썰다.
- 오이를 썰다.
- 목수가 톱으로 나무를 썰었다.
- 어머니가 무로 채를 썰었다.
- 찌개에 파를 숭숭 썰어 집어넣었다.
- 현은 송아지 한 마리를 기르기 시작했다. 여물을 썰고 분뇨를 떠내고 짚을 깔아 주는 데 열중했다.≪선우휘, 불꽃≫
- 도끼로 나무를 찍어 넘겨 톱으로 썰었다.≪이병주, 행복어 사전≫
- 빨리 익으라고 얇게 썰어서 밥 위에 얹은 고구마 한 조각을 젓가락에 찍어 낸다.≪박경리, 토지≫
관련 어휘
역사 정보
써흘다(17세기~18세기)>써을다(19세기)>썰다(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썰다’의 옛말인 ‘써흘다’는 17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9세기에는 ‘써흘다’에서 모음 사이에 존재하는 자음 ‘ㅎ’이 탈락한 ‘써을다’가 되었고, 여기에서 축약을 거쳐 19세기에 ‘썰다’가 나타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17세기에 보이는 ‘서흘다’는 15세기 중엽에 어두된소리를 표기하는 데에 사용된 각자병서 사용을 폐지하였다가 16세기에 다시 각자병서를 사용하게 되었는데 15세기 중엽에 폐지된 각자병서 표기의 흔적이 남은 것이다. 한편 중세국어 시기에는 ‘써흘다’와 모음 대립에 따른 의미 차이를 보이는 ‘싸다’도 존재하였다. |
---|---|
이형태/이표기 | 써흘다, 서흘다, 써을다, 썰다 |
세기별 용례 |
|
다중 매체 정보(1)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