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잗따

- 활용
- 잦아[자자


- 품사
- 「형용사」
- 「005」여러 차례로 거듭되는 간격이 매우 짧다.
- 기침이 잦다.
- ‘부웅’ ‘부웅’ 하는 고동 소리가 잦게 들렸다.≪김동리, 밀다원 시대≫
- 나는 손가락으로 관자놀이를 지그시 눌렀다. 그것이 잦게 뛰고 있었다.≪이동하, 우울한 귀향≫
- 엉덩이와 두 손을 잦게 놀리면서 춤추는 시늉을 했다.≪오유권, 대지의 학대≫
- 한참 같은 가락으로 춤을 추던 명숙이, 장고와 제금 소리가 잦은 가락으로 옮겨지면서 몸 움직임이 빨라진다.≪황순원, 움직이는 성≫
관련 어휘
- 옛말
- 다
역사 정보
다(15세기~18세기)>잦다(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잦다’의 옛말인 ‘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다’는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8종성법에 따라 ‘-’으로 나타난다. 근대국어 후기에 제1음절에서 모음 ‘ㆍ’가 ‘ㅏ’로 바뀌는 경향에 따라 19세기에는 현대 국어와 같은 ‘잦다’ 형태가 등장하였다. |
---|---|
이형태/이표기 | -, -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