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숩

- 활용
- 숲이[수피


- 품사
- 「명사」
- 「001」‘수풀’의 준말.
- 울창한 숲.
- 우거진 숲.
- 소나무 숲.
- 푸른 숲.
- 나와 누나는 발소리를 죽이며 어두운 숲 그늘을 밟고 산비탈을 올라간다.≪김승옥, 생명 연습≫
- 소녀는 키 작은 아이들을 갈대 숲에 앉히고, 자기도 풀밭에 앉았다.≪최인호, 미개인≫
- 들길을 냅다 달리기도 하면서 상용이는, 어머니가 왜 아침에 숲에서 그렇게 기다리고 있었을까 하는 생각이 퍼뜩 들었다.≪하근찬, 야호≫
- 나는 그와 함께 어서어서 숲으로 달아나고 싶었다.≪박완서, 도시의 흉년≫
역사 정보
숲(15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숲’과 동일한 형태는 이미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숲’은 8종성법에 따라 자음으로 시작하는 조사가 결합하거나 단독으로 실현될 때에는 ‘숩’으로 나타났다. 17세기~18세기 문헌에는 종성의 ‘ㅍ’을 ‘ㅂㅎ’으로 재음소화 하여 표기한 ‘숩ㅎ’의 예도 보이며, 중철 표기한 ‘숩ㅍ’의 예도 보인다. 한편 중세국어에는 ‘숲’과 같은 의미를 지닌 명사 ‘숳’도 공존하였다(예: 藂林 모다 난 {수히오} ≪1459 월석 10:69ㄱ≫, 양 집 뒷 댓 {수헤} 가 대 안고저 우더니 ≪1514 속삼 열:12ㄱ≫). |
---|---|
이형태/이표기 | 숳, 숲, 숩ㅍ, 숩, 숩ㅎ, 슙 |
세기별 용례 |
|
관련 정보 | 명사 ‘숳’에 접미사 ‘-블’이 결합하여 ‘수플’이 되고, 여기에서 줄어들어 ‘숲’이 되었다고 보는 견해도 있으나, ‘숳’과 ‘수플’, ‘숲’이 모두 15세기에 공존하고 있으므로 이들 사이의 관계는 정확히 알 수 없다. |
관용구·속담(5)
- 관용구숲을 이루다
- 많은 것이 빽빽이 들어서 있다.
- 그곳에는 시커먼 공장 굴뚝이 숲을 이루고 있었다.
- 속담숲에서는 꿩을 길들이지 못하며 못에서는 게를 기르지 못한다
- 통제하기 어려운 상황이나 조건에 있는 사람을 다스리고 가르치는 것은 어려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숲이 깊어야 도깨비가 나온다
- 자기에게 덕망이 있어야 사람들이 따르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덤불이 커야 도깨비가 난다’ ‘물이 깊어야 고기가 모인다’ ‘산이 깊어야 범이 있다’
- 속담숲이 짙으면 범이 든다
- 깊고 으슥한 곳에는 위험이 숨어 있기 마련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숲이 커야 짐승이 나온다[든다]
- 일정한 바탕이나 조건이 갖추어져야 그것에 합당한 내용이 따르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숲이 깊어야 도깨비가 나온다’ ‘덤불이 커야 도깨비가 난다’ ‘물이 깊어야 고기가 모인다’ ‘산이 깊어야 범이 있다’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