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수레

- 품사
- 「명사」
- 「001」바퀴를 달아서 굴러가게 만든 기구. 사람이 타거나 짐을 싣는다.
- 수레를 끌다.
- 볏짚을 수레에 실어 옮겼다.
- 어미 소 두 마리를 끌어다가 수레를 메웠다.
- 수레를 끌던 살찐 황소는 그 기름이 지르르 흐르는 누런 몸뚱이를 부르르 한 번 털고 걸음을 멈춘다.≪현진건, 무영탑≫
- 백성들의 환호 소리는 왕과 공주의 수레가 개성부로 들어설 때까지 천리에 뻗쳐 우레 소리 같았다.≪박종화, 다정불심≫
- 장롱과 궤와 금침 바리와 그 밖에 신부가 일생을 두고 쓸 여러 가지 기구가 세 수레에 실려 왔다.≪한설야, 탑≫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술륙(경기), 수리(경남, 제주), 술개(경남, 중국 흑룡강성), 구룬나(경북), 구룸마(경북, 전북, 충남), 구르마(경북, 전북, 충청), 끌-구루마(경북), 차(車)(경상), 순레(전북), 술리(제주), 구름마(충남), 술구(평안), 술레(평안, 중국 요령성), 술기(함경), 구루매(함남)
- 옛말
- 술위
역사 정보
술위(15세기~18세기)>술의(16세기~18세기)>수릐(18세기)/수(17세기~19세기)>수레(18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수레’의 옛말인 ‘술위’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났다. 16세기에는 후두 유성마찰음 ㅇ[ɦ]이 사라지면서 ‘술위>수뤼’의 변화도 일어났고, ‘술위’에서 두 번째 음절의 모음 ㅜ가 ㅡ로 바뀐 ‘술의’ 형태도 등장하였다. 17세기에는 ‘수릐’의 제2음절 모음 ‘ㅡ’가 ‘ㆍ’로 바뀐 ‘수’ 형태가 등장하였는데, 이는 16세기 이후 비어두음절에서 모음 ‘ㆍ>ㅡ’의 변화가 일어난 것을 의식한 과도 교정 형태로 추정된다. 18세기에는 현대 국어와 같은 ‘수레’ 형태가 등장하였는데, ‘수>수레’의 변화는 근대국어 후기에 모음 ‘ㆍ’가 ‘ㅏ’와 소리가 같아져서 이중모음 ‘ㆎ’도 ‘ㅐ[ay]’와 소리가 같아지고, 이중모음 ‘ㅐ[ay]’와 ‘ㅔ[əy]’가 각각 단모음 [ɛ], [e]로 변화하면서 이들 단모음 사이에 혼동이 일어난 결과로 파악된다. |
---|---|
이형태/이표기 | 술위, 술의, 수뤼, 수릐, 수, 수레, 슈레 |
세기별 용례 |
|
다중 매체 정보(1)
관용구·속담(1)
- 속담수레 위에서 이를 간다
- 떠나가는 수레 위에 실려서 원망하며 이를 간다는 뜻으로, 이미 때가 지난 뒤에 원망을 하고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