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때

- 품사
- 「명사」
- 「001」시간의 어떤 순간이나 부분.
- 때를 알리다.
- 아무 때나 오너라.
- 내가 웃고 있을 때에 그녀가 나를 보았다.
- 대왕이 다시 이 땅으로 돌아와 길고 긴 세월 동안 당신의 말을 견디고 기다려오고 있었음을 알았을 때, 그리고 그 어두운 묘실 속에 그가 그 왕의 말을 안타깝게 소망하고 있었을 때,….≪이청준, 춤추는 사제≫
- 이웃 섬나라의 번안물 같은 것들이 바야흐로 민중을 소비가 미덕인 사회로 유혹하고 있었다. 때를 같이하여 곳곳에는 단속을 받지 않은 사창가가 번창 일로에 있었다.≪이청준, 조율사≫
- 잠들었던 사자는 기지개를 켜고 늙은 용은 못 속에서 여의주를 껴안을 때가 되었다.≪박종화, 전야≫
- 강태와 나와는 둘도 없는 동지였지. 일경의 눈을 피해 가며 지하 운동을 하던 때가 바로 어제 같단 말이야.≪선우휘, 깃발 없는 기수≫
- 그 남자가 바로 얼굴만 바뀐 병식이로 눈앞에 떠오를 때, 수영은 그 환영을 깨물어 죽이려는 것처럼 이를 부드득 갈았다.≪심훈, 영원의 미소≫
- 시장에서 그렇게 오므리고 앉아 있을 때가 산에서 칼질할 때보다 더 마음이 조마조마해져서 못할 노릇이라는 것이다.≪장용학, 비인탄생≫
역사 정보
(15세기~17세기)>(16세기~19세기)>(17세기~19세기)>때(18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때’의 옛말인 ‘’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는 15세기부터 초성 ‘ㅵ’이 ‘ㅳ’으로 변화된 ‘’가 나타난다. 근대 국어 시기에 ‘ㅳ’을 ‘ㅼ’으로 표기하게 됨에 따라 17세기에는 ‘’로 나타난다. 이후 ‘ㅼ’을 ‘ㄸ’으로 표기하게 됨에 따라 18세기에 ‘때’로 나타나서 현재에 이르렀다. 18세기의 ‘’는 ‘’의 ‘ㅐ’를 ‘ㆎ’로 표기한 것인데, 이것은 18세기에 제1음절의 ‘ㆍ’가 ‘ㅏ’로 변화됨에 따라 ‘ㆎ’가 ‘ㅐ’로 변화되었던 경향 때문에 ‘ㅐ’와 ‘ㆎ’를 혼동한 표기이다. |
---|---|
이형태/이표기 | , , , , 때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