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원ː숭이

- 품사
- 「명사」
- 분야
-
『동물』
- 「001」구세계원숭잇과와 신세계원숭잇과의 짐승을 통틀어 이르는 말. 늘보원숭이, 개코원숭이, 대만원숭이 따위가 있다.
- 원숭이에게 바나나를 주었다.
- 이제 대문 안까지 들어와 저들끼리 뭐라고 쑥덕대며 곡마단 패 원숭이 구경하듯….≪김원일, 불의 제전≫
관련 어휘
- 높임말
- 원공(猿公)
- 지역어(방언)
- 나비(강원, 충북), 원새이(강원, 경기, 경상, 전라, 충청, 중국 길림성), 원생이(강원, 경상, 전라, 제주, 충남, 충청, 중국 길림성, 중국 흑룡강성), 원쇄이(강원), 원쇵이(강원), 원수이(강원, 경상, 전라, 충청), 원싱이(강원, 경상, 전북, 충청), 잔나부(강원), 잔나비(강원, 제주, 충북), 잔내비(강원, 경상, 전라, 제주, 충청, 함경, 중국 길림성, 중국 흑룡강성), 원성이(경기, 전라, 중국 길림성), 원승이(경기, 충청, 중국 길림성), 언시(경남), 언시이(경남, 전남, 중국 흑룡강성), 온시이(경남), 온신이(경남), 운시이(경남), 운시히(경남), 잘라래미(경남), 잘라비(경남), 잘래비(경남, 함남), 잰나비(경남, 전북, 함북), 완세이(경북), 원수니(경북), 원쉬(경북), 원시(경북), 원시이(경상, 전북, 충청, 함남, 중국 흑룡강성), 잘래미(경상), 짤래비(경상, 함남, 황해), 짼내비(경상, 평안, 함경, 중국 길림성, 중국 요령성, 중국 흑룡강성), 언세이(전남), 언셍이(전남), 온세이(전남), 온셍이(전남), 원셰이(전남), 원스이(전남), 은수이(전남), 잔납(전남), 왠수이(전북), 잔내미(전북), 납(제주), 원셍이(제주), 웡셍이(제주), 원슁이(충북), 웬승이(충청, 중국 길림성), 짠나비(충청, 중국 길림성), 쟁내비(평안, 중국 요령성), 짼나비(평안, 함남), 잰내비(함경), 쨀래비(함경), 잠나비(함남), 짠내비(함남), 원서이(황해), 원세(황해), 웬셍이(황해)
- 옛말
- 납
역사 정보
납(15세기~17세기)>납(17세기)>나비(18세기)>잔나비/원승(19세기)>원숭이(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원숭이’의 옛말인 ‘납’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7세기 문헌에서부터 ‘납’에 ‘’과 ‘’이 결합된 ‘납’, ‘납’이 나타나기 시작하는데 이 ‘’, ‘’이 무엇인지는 분명하게 설명하기 어렵다. 18세기 문헌에 보이는 ‘납이’, ‘납비’, ‘나비’는 ‘납’에 명사 파생 접미사 ‘-이’가 결합된 것이다. ‘원숭이’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형태인 ‘원승’과 ‘원이’는 19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
---|---|
이형태/이표기 | 납, 납, 납, 납이, 납비, 나비, 잔나비, 잔내비, 잣나비, 원승, 원이 |
세기별 용례 |
|
다중 매체 정보(1)
관용구·속담(7)
- 관용구원숭이 달 잡기
- 원숭이가 물에 비친 달을 잡으려다가 빠져 죽는다는 데서 유래한 말로, 사람이 제 분수에 맞지 아니하게 행동하다가 화를 당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원숭이도 나무에서 떨어진다
- 아무리 익숙하고 잘하는 사람이라도 간혹 실수할 때가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나무 잘 타는 잔나비 나무에서 떨어진다’ ‘닭도 홰에서 떨어지는 날이 있다’
- 속담원숭이 똥구멍같이 말갛다
- 취할 것 하나도 없거나 몹시 보잘것없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원숭이 볼기짝인가
- 술을 먹고 얼굴이 불그레해진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선짓국을 먹고 발등걸이를 하였다’
- 속담원숭이의 고기 재판하듯
- 이솝 우화에서 고기를 똑같이 나눠 준다고 하면서 야금야금 자기가 베어 먹어 마침내 다 먹는 원숭이 이야기에서 나온 말로, 겉으로는 공정한 척하면서 실지로는 교활하게 남을 속이고 제 잇속을 차리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원숭이 이 잡아먹듯
- 샅샅이 뒤지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원숭이 흉내[입내] 내듯
- 생각 없이 남 하는 대로 덩달아 따라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