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섬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1」곡식 따위를 담기 위하여 짚으로 엮어 만든 그릇.
보리를 섬에 담다.
밤을 담기 위해 큰 섬을 여러 개 만들었다.
부민들이 멍석과 섬을 가져다 깔고 그 위에 부상자들을 눕혔다.≪송기숙, 녹두 장군≫
아가리를 벌려 주며 막딸이 말했다. 막딸네는 자루바가지로 무덤 진 보리를 퍼서 속에 넣으며….≪박경리, 토지≫

관련 어휘

참고 어휘
지역어(방언)
(전북), (충북)
옛말

역사 정보

셤(15세기~19세기)>섬(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섬’의 옛말인 ‘셤’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근대국어 후기에 ‘ㅅ’ 뒤에서 이중모음 ‘ㅑ, ㅕ, ㅛ, ㅠ’ 등이 반모음 ‘ㅣ’[y]의 탈락으로 단모음화하는 현상에 따라 ‘셔’가 ‘서’로 바뀌어 19세기에는 현대 국어와 같은 ‘섬’이 되었다.
이형태/이표기 셤, 섬
세기별 용례
15세기 : (셤)
그저긔 世尊이 大悲力으로 金剛 모 아 舍利 시니 여듧 너 마리러시니 ≪1447 석상 23:50ㄴ-51ㄱ
長安애셔   셔메 萬錢을 받거 브왜야 나 숨 쉬요 니라 ≪1481 두시-초 24:35ㄴ
16세기 : (셤)
내 두  월을 와 토리라 몃 실고 여 토리라 ≪1510년대 번박 상:11ㄱ
단 ≪1527 훈몽 하:14ㄴ
곡 ≪1576 신증 상:27ㄴ≫
17세기 : (셤)
十甔 열 1690 역해 상:64ㄴ
18세기 : (셤)
饑荒야 義倉의 가 닷 말 곡식을 어와 석 셤을 갑고 前年에 赦書ㅣ 와 赦엿더니 ≪1721 오륜전비 5:28ㄴ
一擔  1748 동해 하:21ㄴ
셕 石 말 두 斗 되 승 升 ≪1781 왜해 상:55ㄱ
19세기 : (셤, 섬)
石 ≪1880 한불 398
穀 石子 空石 ≪1895 국한 177

다중 매체 정보(1)

  • 섬

관용구·속담(3)

속담섬 속에서 소 잡아먹겠다
작은 섬 속에서 큰 소를 잡아먹겠다는 뜻으로, 하는 짓이 옹졸하고 답답하며 근시안적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섬 진 놈 멱 진 놈
섬거적을 진 사람과 멱둥구미를 진 사람이라는 뜻으로, 가지각색의 어중이떠중이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멱 진 놈 섬 진 놈
속담섬 틈에 오쟁이 끼겠나
볏섬을 쌓고 그 사이사이에 또 오쟁이까지 끼워 둘 셈이냐는 뜻으로, 재산 있는 사람이 더 무섭게 재물을 아끼고 탐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