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이욷발음 듣기]
활용
이웃만[이운만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1」나란히 또는 가까이 있어서 경계가 서로 붙어 있음.
이웃 동네.
철수는 학교가 이웃인데도 매일 지각을 한다.
그때 마침 친정에 다니러 온 고모가 자기 이웃 마을에 산다는 점쟁이 이야기를 꺼냈다.≪윤흥길, 장마≫
바로 이웃에 시장이 들어서고 나서 좁은 골목이 조금씩 달라지기 시작했다.≪박완서, 오만과 몽상≫
이웃 거제도의 군관이 이순신의 물음에 답했다.≪고정욱, 원균 그리고 원균≫
떠나온 고향들 역시 저마다 가지가지다. 멀리는 강원도와 경기도에서 내려왔고 가까이는 이웃 경상도와 전라도 지방의 섬에서도 올라왔다.≪홍성원, 육이오≫
앞의 몇 고을에서 있었던 일은 그 고을 사람들은 물론 이웃 고을 사람들까지 들뜨게 하고 있었다.≪송기숙, 녹두 장군≫

역사 정보

이웆(15세기~18세기)>이웃(17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이웃’의 옛말인 ‘이웆’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5세기에 ‘이웆’은 자음으로 시작하는 조사가 결합하거나 단독으로 나타날 때에는 ‘이웃’으로 나타나고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가 결합할 때에는 ‘이웆’으로 나타나 ‘이웃/이웆’의 교체를 보였다. 17세기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가 결합할 때에도 ‘이웃’으로 나타나면서 이형태가 ‘이웃’으로 통일되었다. 18세기까지 ‘이웆’과 ‘이웃’이 공존하다가 ‘이웃’으로 정착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이형태/이표기 이웃, 이웆, 이욷, 이옷, 이오지, 이븟, 니웃
세기별 용례
15세기 : (이웃, 이웆, 이옷)
 太子마다 히미 一千 사미 맛더니 이웃 나라히 背叛거든 저희 가 티고 四兵을 니르왇디 아니 ≪1447 석상 11:36ㄱ
네 識은 오 잇도소니 오면 이우지 업거니 界 므스글 브터 셔리오 ≪1461 능엄 3:37ㄱ
車馬  사미 이옷 지브로 들어 ≪1481 두시-초 9:9ㄱ
16세기 : (이웃, 이웆, 이욷, 이븟)
잠 어려운 일 어더도 이웃히 안자셔 보고 구 줄 모니 ≪1518 정속-이 13ㄱ
그 劉淸甫의 수울  館이니 이 내 이우지니 엇디 모리오 ≪1510년대 번노 상:49ㄱ
술  져제와 녀기의 지븨 드러가 간대로 쳔 거든 모 아과 이욷 짓 늘그니히 말여 닐오 ≪1510년대 번노 하:47ㄴ-50ㄱ
겨집 子息 제 로 니다가 이븟 짓 머섬 사괴야 남진도 어러 家門도 더러이며 ≪1569 칠대 21ㄴ
17세기 : (이웃, 이웆, 이옺, 이욷, 이옷)
식  후에 살 인 고 장 피고 이웃 지븨 셩조기도  금긔라 ≪1608 언태 14ㄱ
歷下애 姜肱 니브를 말오 關西에 孟母의 이우슬 어두라 ≪1632 두시-중 16:22ㄱ
그 劉淸甫의 술  館이니 이 내 이우지니 엇디 모리오 ≪1670 노언 상:44ㄱ
이오지며 흔 비록 권당의게 비기면 소나 ≪1658 경민-개 24ㄴ
시예 뵈야로 크게 비 와 텬디 어두우니 이욷 사이 다 놀라 두려 나디 아니터라 ≪1617 동신속 효2:69ㄴ≫
車馬  사미 이옷 지브로 들어 ≪1481 두시-중 9:9ㄱ
18세기 : (이웃, 이웆, 이오지, 이욷, 이옷, 니웃)
모녀 두 사이 슬피 울기 졀거 인야 그 이웃 사려 무니 닐오 ≪1758 종덕 중:21ㄱ
부졀업시  흘 次知 사과 이우지 사을 疑心여 刑罰여 져조 고이실 제 ≪1765 청노 2:16ㄱ
이오지1790 몽해 상:30ㄴ
이욷 린 隣 ≪1781 왜해 상:34ㄴ
딘 거시 뵈 근의셔 더거든 문득 이옷 사미  죠고만 거슬 더 부티면 ≪1762 지장 중:16ㄴ
니웃에 사 진시녀 나히 이십에 긴 혀 밋고 ≪1796 경신 15ㄴ
19세기 : (이웃, 니웃)
지금에 이웃 고을이 도젹의 로온  되나 ≪1880 과화 13ㄴ
그 도젹을 잡으니 곳 그 니웃 사의 식이라 ≪1852 태상 1:28ㄴ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