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이끌리다발음 듣기]
활용
이끌리어[이끌리어발음 듣기/이끌리여발음 듣기](이끌려[이끌려]), 이끌리니[이끌리니]
품사/문형
「동사」 【…에/에게】
「001」목적하는 곳으로 가는 사람을 따라가게 되다. ‘이끌다’의 피동사.
아이는 어머니 손에 이끌려 학교에 갔다.
나는 그 눈이 펑펑 쏟아지던 날 밤에 유리창 사이로 그가 신부에게 이끌리어 다른 방으로 사라지는 것을 목격했다.≪김용성, 도둑 일기≫

관련 어휘

역사 정보

잇글이다(16세기)>잇글리다(18세기~19세기)>이끌리다(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이끌리다’의 옛말인 ‘잇글이다’는 16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잇글이다’는 ‘이끌다’의 옛말인 동사 ‘잇글-’에 피동접미사 ‘-이-’가 결합한 것이다. 제2음절의 끝소리 ‘ㄹ’이 연철표기 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제3음절의 첫소리 ‘ㅇ’이 후두 유성마찰음 [ɦ]임을 알 수 있다. 16세기 이후 후두 유성마찰음 ‘ㅇ’이 소멸하면서 근대국어 시기에는 그 자리에 ‘ㄹ’이 첨가된 ‘잇글리다’ 형태가 등장하게 되었다. ‘잇글다’의 경우는 16세기에 이미 제2음절의 초성이 된소리로 표기된 ‘이다’의 예가 보이나 ‘잇글리다’의 경우는 19세기 문헌에 비로소 제2음절의 초성이 된소리로 표기된 ‘이니다’의 예가 나타난다(근대국어 시기에는 어중의 ‘ㄹㄹ’이 ‘ㄹㄴ’으로 표기되는 경향에 따라 ‘이리다’가 ‘이니다’로 표기된 것이다). 현대 국어에서는 ‘ㄱ’의 된소리를 ‘ㄲ’으로 표기하는 원칙에 따라 ‘이끌리다’로 표기하게 되었다.
이형태/이표기 잇글이다, 잇글리다, 잇글리이다, 잇글니다, 이니다
세기별 용례
16세기 : (잇글이다)
비록 이 生애 디 몯홀디라도 眼光ㅣ 해 딜 時節에 惡葉의 잇글일 배 되이디 아니리라 ≪1569 선가 19ㄱ
18세기 : (잇글리다, 잇글리이다, 잇글니다)
역적의게 붓좃  다 흉언이 근본이 업고 의게 업 줄을 아되 욕심의 잇글려 이 역모 티 엿다 고 ≪1756 천의 2:24ㄱ
被牽扯 일에 잇글리이다1790 몽보 29ㄱ
 의 잇글녀 지 말고 반시 편폐 멀니 며 츙션니 갓가 ≪1746 자성 외:43ㄱ
엇디 젼관의 졍텽에 안자 좌편으로 잇글니며 우편으로 거러임과 낫디 아니냐 ≪1761 경문 38ㄴ
19세기 : (잇글니다, 이니다)
잇글니다 牽引 잇그다 ≪1880 한불 46
오직 사이 그 욕심으로 이니 밋에 시험 보미니 ≪1887 성전 야고보 1:1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