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이끌리다

- 활용
- 이끌리어[이끌리어


- 품사/문형
- 「동사」 【…에/에게】
- 「001」목적하는 곳으로 가는 사람을 따라가게 되다. ‘이끌다’의 피동사.
- 아이는 어머니 손에 이끌려 학교에 갔다.
- 나는 그 눈이 펑펑 쏟아지던 날 밤에 유리창 사이로 그가 신부에게 이끌리어 다른 방으로 사라지는 것을 목격했다.≪김용성, 도둑 일기≫
역사 정보
잇글이다(16세기)>잇글리다(18세기~19세기)>이끌리다(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이끌리다’의 옛말인 ‘잇글이다’는 16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잇글이다’는 ‘이끌다’의 옛말인 동사 ‘잇글-’에 피동접미사 ‘-이-’가 결합한 것이다. 제2음절의 끝소리 ‘ㄹ’이 연철표기 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제3음절의 첫소리 ‘ㅇ’이 후두 유성마찰음 [ɦ]임을 알 수 있다. 16세기 이후 후두 유성마찰음 ‘ㅇ’이 소멸하면서 근대국어 시기에는 그 자리에 ‘ㄹ’이 첨가된 ‘잇글리다’ 형태가 등장하게 되었다. ‘잇글다’의 경우는 16세기에 이미 제2음절의 초성이 된소리로 표기된 ‘이다’의 예가 보이나 ‘잇글리다’의 경우는 19세기 문헌에 비로소 제2음절의 초성이 된소리로 표기된 ‘이니다’의 예가 나타난다(근대국어 시기에는 어중의 ‘ㄹㄹ’이 ‘ㄹㄴ’으로 표기되는 경향에 따라 ‘이리다’가 ‘이니다’로 표기된 것이다). 현대 국어에서는 ‘ㄱ’의 된소리를 ‘ㄲ’으로 표기하는 원칙에 따라 ‘이끌리다’로 표기하게 되었다. |
---|---|
이형태/이표기 | 잇글이다, 잇글리다, 잇글리이다, 잇글니다, 이니다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