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서른

- 품사
- 「수·관」
- 「001」열의 세 배가 되는 수. 또는 그런 수의.
- 열에 스물을 더하면 서른이다.
- 그 화재로 서른이 넘는 집 중에 일곱 채가 불에 탔다.
- 서른 안팎으로 뵈는 여자가 마당에 물을 뿌리다 말고 곁눈질을 한다.≪박경리, 토지≫
- 사람 서른 명.
- 돈 서른 냥.
- 논 서른 마지기.
- 내년이면 내 나이도 서른 살이다.
- 비행기가 완성되던 날 종대는 위생병에게 페니실린 알약을 서른 개나 얻었다.≪최인호, 지구인≫
- 똑같은 집이 서른 채나 있었지만 그의 집은 하나밖에 없는 그의 집이었다.≪박완서, 오만과 몽상≫
관련 어휘
- 참고 어휘
- 삼십(三十)
- 지역어(방언)
- 서런(강원, 전남, 중국 흑룡강성), 설흔(강원, 경기, 경상, 전라, 제주, 충청), 설훈(경기, 전라), 서흔(경남), 써런(경남, 중국 흑룡강성), 서룬(전라), 설룬(제주), 셔른(평북, 함북, 중국 길림성)
- 옛말
- 셜흔
역사 정보
셜흔(15세기~19세기)>셔른(19세기)>서른(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서른’의 옛말인 ‘셜흔’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근대국어 시기에 모음 사이에 존재하는 자음 ‘ㅎ’이 탈락한 후 제1음절의 종성 ‘ㄹ’이 연철 표기되어 ‘셔른’이 되었다. 또한 근대국어 후기에 ‘ㅅ’ 뒤에서 이중모음 ‘ㅑ, ㅕ, ㅛ, ㅠ’ 등이 반모음 ‘ㅣ’[y]의 탈락으로 단모음화하는 현상에 따라 ‘셔’가 ‘서’로 바뀌어 현대 국어와 같은 ‘서른’이 되었다. |
---|---|
이형태/이표기 | 셜흔, 설흔, 셔른, 셜은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2)
- 속담서른 과부는 넘겨도 마흔 과부는 못 넘긴다
- 삼십 대의 과부는 혼자 살 수 있어도 사십 대의 과부는 혼자 못 산다는 뜻으로 이르는 말.
- 속담서른세 해 만에 꿈 이야기 한다
- 까맣게 잊어버린 지난 일을 새삼스럽게 들추어내서 상기시키는 쓸데없는 행동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