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삭

- 활용
- 삵이[살기


- 품사
- 「명사」
- 분야
-
『동물』
- 학명
- Felis bengalensis
- 「001」고양잇과의 포유류. 고양이와 비슷한데 몸의 길이는 55~90cm이며, 갈색 바탕에 검은 무늬가 있다. 꼬리는 길고 사지는 짧으며 발톱은 작고 날카롭다. 밤에 활동하고 꿩, 다람쥐, 물고기, 닭 따위를 잡아먹는다. 5월경 2~4마리의 새끼를 낳고 산림 지대의 계곡과 암석층 가까운 곳에 사는데 한국, 인도,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 그 병아리를 따라가 고이 붙들었다. 들고 보니, 삵에게 물렸는지, 왼편 목덜미가 찢어지고….≪이은상, 노산 문선≫
관련 어휘
역사 정보
(15세기~19세기)>삵(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삵’의 옛말인 ‘’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등장한다. 근대국어 후기에 모음 ‘ㆍ’가 ‘ㅏ’와 소리가 같아지면서 19세기에는 현대 국어와 같은 ‘삵’이 등장하게 되었다. 현대 국어에서는 ‘삵’과 ‘살쾡이’를 복수표준어로 인정하고 있는데, ‘살쾡이’는 ‘삵’과 ‘고양이’의 준말 ‘괭이’가 합쳐진 것으로 20세기 이후에 등장하였다. |
---|---|
이형태/이표기 | , ㄱ, , , 삵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1)
- 속담삵이 호랑이를 낳는다
- 변변치 못한 부모에게서나 평범한 집안에서 뛰어난 인물이 나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