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우러르다

- 활용
- 우러러[우러러


- 품사/문형
- 「동사」 【…을】
- 「001」위를 향하여 고개를 정중히 쳐들다.
- 선수들은 금메달을 목에 걸고 태극기를 우러러 경례를 하였다.
- 하늘을 우러르며 십만의 대군이 검가(劍歌)를 외치는 소리는 오십 리 안팎을 뒤흔들고 남았다.≪유현종, 들불≫
역사 정보
울월다(15세기~18세기)>울얼다(16세기~19세기)>우럴다(17세기~19세기)>우러르다(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우러르다’의 옛말인 ‘울월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6세기에는 제1음절과 제2음절에 동일한 ‘ㅜ’ 모음이 등장하는 것을 회피하는 이화 현상에 따라 제2음절의 이중모음 ‘ㅝ’에서 ‘ㅜ’가 탈락하여 ‘울얼다’ 형태가 등장하게 되었다. 16세기에 ‘울월다>울얼다’의 제2음절 초성인 후두 유성마찰음 ‘ㅇ[ɦ]’이 사라지면서 17세기에는 연철 표기된 ‘우럴다’로 나타나게 되었다. 19세기에는 ‘우러르니’의 예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어간이 ‘우럴-’에서 ‘우러르-’로 바뀌었다. 이는 ‘우럴-’이 모음 어미 ‘-어’와 결합하여 ‘우러러’로 나타난 것을 ‘크다, 커’와 같이 어간말 모음 ‘ㅡ’를 지닌 용언이 어미 ‘-어’와 결합할 때 ‘ㅡ’가 탈락하는 것과 같은 활용으로 잘못 분석한 결과이다. |
---|---|
이형태/이표기 | 울월다, 울얼다, 우럴다, 우러르다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1)
- 속담우러러 하늘에도 부끄럽지 않고 굽어 땅에도 부끄럽지 않다
- 양심에 거리끼는 것이 조금도 없고 아주 떳떳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