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빨리

- 품사
- 「부사」
- 「001」걸리는 시간이 짧게.
- 빨리 걷다.
- 빨리 결정하다.
- 일을 빨리 끝내다.
- 일의 정황을 빨리 파악하다.
- 누군가가 빨리 나타나서 나를 이 거북스러운 장소로부터 데려가 주기를 나는 은근히 소망했다.≪이동하, 장난감 도시≫
- 나는 고모부의 변명을 귓가에 흘리면서 택시 운전사에게 좀 더 빨리 달리라고 부탁했다.≪김용성, 도둑 일기≫
- 그러나 이처럼 그 종말이 성큼 빨리 다가올 줄은 미처 상상조차 못한 일이었다.≪최인호, 지구인≫
- 그 집 큰딸은 약을 먹었었다. 다행히 빨리 발견해서 살려 낼 수 있었다.≪조세희, 칼날≫
- 심유경은 이 기쁜 소식을 어서 빨리 사랑하는 사람에게 알려 주고 싶었다.≪박종화, 임진왜란≫
- 그러면서 권대길은 술청을 향해 큰 소리로 빨리 술을 가져오지 않는다고 그의 아낙을 다그쳤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 그 생각만 하면 하루라도 빨리 어른이 되고 싶어 죽을 지경이었다.≪박기동, 아버지의 바다에 은빛 고기떼≫
관련 어휘
역사 정보
리(15세기~19세기)>리(18세기~19세기)>빨리(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빨리’의 옛말인 ‘리’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이 단어는 “빠르다”의 뜻인 ‘르-’에 부사 파생 접미사 ‘-이’가 결합한 것이다. 근대 국어 시기는 어두의 ‘ㅽ’ 표기가 ‘ㅃ’으로 나타나는 ‘리’의 경우는 ‘리’가 18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7세기에는 ‘리’의 ‘리’가 ‘니’로 표기된 ‘니’도 보이며 19세기에는 ‘리’의 ‘리’가 ‘니’로 표기된 ‘니’도 보인다. |
---|---|
이형태/이표기 | 리, 니, 리, 니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3)
- 속담빨리 다는 화로가 빨리 식는다
- 빨리 흥분하는 사람은 또한 그 흥분을 쉽게 가라앉힘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빨리 먹은 콩밥 똥 눌 때 보자 한다
- 꼭꼭 씹지 아니하고 급하게 삼켜 버린 콩은 삭지 아니한 채 그대로 나온다는 뜻으로, 무슨 일이든 급히 서두르면 탈이 생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빨리 알기는 칠월 귀뚜라미라
- 음력 칠월만 되면 울기 시작하는 가을 귀뚜라미처럼 영리하고 눈치 빠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