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붇뜰리다발음 듣기]
활용
붙들리어[붇뜰리어발음 듣기/붇뜰리여발음 듣기](붙들려[붇뜰려발음 듣기]), 붙들리니[붇뜰리니발음 듣기]
품사/문형
「동사」 【…에/에게 (…을)】
「001」빠져나가지 못하게 꽉 잡히다. ‘붙들다’의 피동사.
불량배에게 팔이 붙들리는 바람에 도망치지 못했다.
아이는 엄마에게 손을 붙들린 채 걸어갔다.
어느 결에 한쪽 손목이 영칠이의 손아귀에 덥석 붙들려 있었고, 그 힘에 이끌려 벌써 비실비실 마구 고추밭을 가로지르고 있었다.≪하근찬, 야호≫

역사 정보

븓들이다(15세기~16세기)>븓들리다(16세기~19세기)>붇들리다(18세기)>붙들리다(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붙들리다’의 옛말인 ‘븓들이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븓들이다’는 동사 어간 ‘븥-’과 ‘들-’이 결합한 합성어 ‘븓들-’에 피동접미사 ‘-이-’가 결합한 것으로, ‘븥-’이 ‘븓-’으로 표기된 것은 팔종성법에 따른 것이다. 16세기부터 후두 유성마찰음 ‘ㅇ[ɦ]’이 사라지면서 어중의 ‘ㄹㅇ’이 ‘흘리다’ 등의 용언에 유추되어 ‘ㄹㄹ’로 바뀐 ‘븓들리다’ 형태가 등장하게 되었다. 근대국어 시기에 양순음 ‘ㅁ, ㅂ, ㅍ’ 아래에서 모음 ‘ㅡ’가 ‘ㅜ’가 되는 원순모음화가 일어나 18세기에는 ‘브’가 ‘부’로 바뀌었는데, 근대국어 시기에는 종성의 ‘ㄷ’을 ‘ㅅ’으로 표기하는 경향과 어중의 ‘ㄹㄹ’을 ‘ㄹㄴ’으로 표기하는 경향이 있어서 ‘붇들리다’ 대신 ‘붓들니다’로 표기된 예가 나타난다. 현대 국어에서는 원형을 밝혀 적는 원칙에 따라 ‘붙들리다’로 표기하게 되어 현재에 이르렀다.
이형태/이표기 븓들이다, 븓들리다, 븟들니다, 붓들니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븓들이다)
宿王戲 本來ㅅ 智慧 自在야 거리 븓들윤 줄 업슬 씨라 ≪1447 석상 20:35ㄱ
다 經文에 븓들인 病이라 ≪1459 월석 1:월석서23ㄱ
時分에 븓들이디 아니면 通히 외오미 맛니라 ≪1461 능엄 7:41ㄱ
16세기 : (븓들이다, 븓들리다)
날마다 녯 이 긔디야 이제 녜예 븓들이디 마라 모로매 효 되며 슌며 심 외 ≪1518 번소 6:5ㄱ
믈읫 니 말와 견줍 고티힐훠 보니 븓들여 서르 어긘 이리 하더니 ≪1518 번소 10:25ㄴ
掣肘 을 미니 븓들리단 말이라 ≪1588 소언 6:123ㄴ
17세기 : (븓들리다)
니디 아녀도 일이 行 者 븓들려 닐고 니 後에 일이 行 者 막대 딥고 닐고 ≪1632 가언 9:38ㄱ
18세기 : (븟들니다, 붓들니다)
샹이 븟들녀 닐어나샤 오 곳치시고 ≪1777 명의 권수하 존현각일기:39ㄴ
병 드러 죽을 에 붓들녀 니러 안자 오 ≪1797 오륜 충:78ㄱ
19세기 : (븟들니다)
사의게 븟들녀 놀니임을 밧을 날이 잇 거시오 ≪1892 성직 20ㄱ
위로